"튀니지 테러, 리비아 두목 사망에 대한 IS의 보복"

편집부 / 2015-03-19 17:09:26

"튀니지 테러, 리비아 두목 사망에 대한 IS의 보복"



(서울=연합뉴스) 공병설 기자 = 아프리카 튀니지 박물관 총격테러는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가 자신들의 리비아 조직 우두머리가 살해된 데 대한 보복으로 저질렀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튀니지 총격테러는 야만적인 IS의 특징을 모두 띠고 있으며, IS의 리비아 조직 지도자 아흐메드 알 루이시(48)의 사망과 연계돼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고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테러리스트 루이시는 자신의 조국인 튀니지 내 테러를 선동한 혐의로 튀니지 정부가 추적해 온 인물이다.

루이시는 튀니지에서 최근 발생한 일련의 폭탄 공격과 2013년 좌파 정치인 초크리 벨라이드와 무함마드 브라흐미 암살 사건의 배후 인물로 지목받아 왔다.

그는 지난해 IS가 유럽 공격을 위해 튀니지와 인접한 리비아에 세운 북아프리카의 첫 번째 조직의 지휘를 맡아 왔으며, 지난 14일 튀니지 미수라타에서 온건파 이슬람 민병대와의 전투 도중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루이시는 튀니지 보안대가 IS의 세부 전략이 포함된 그의 노트북을 발견한 뒤 '튀니지 테러리즘의 블랙박스'라는 별명이 붙었다.

튀니지 언론들은 이번 총격테러가 루이시에 충성을 맹세한 조직원들의 소행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고 텔레그래프는 전했다.

페데리카 모게리니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도 이번 테러가 IS의 소행이라는 성명을 내놨다가 철회하고 '테러조직'이란 표현으로 정정했다.

이번 테러에는 4년 전 중동과 북아프리카 독재정권을 잇달아 무너뜨린 '아랍의 봄'의 발원지인 튀니지 사회를 불안하게 만들려는 시도도 깔려 있다는 분석도 있다. 튀니지를 제외하고 리비아, 시리아, 이집트 등 민주화 시위가 일어난 다른 아랍 국가들은 혼란에 휩싸여 있다.

이번 테러는 또 튀니지의 핵심 산업인 관광 분야에도 커다란 충격을 주고 있다.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테러 직후 "이번 테러가 아랍 세계의 희망을 대표하는 나라(튀니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평화와 안정, 민주주주의를 향한 희망은 살아 남아야 한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