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995년 무라야마담화 발표 장면 (도쿄 교도=연합뉴스) 1995년 8월 15일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당시 일본 총리가 도쿄 총리관저에서 일본의 패전 50주년을 맞아 무라야마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무라야마담화는 일본이 "전쟁의 길을 걸어 국민의 존망을 위기에 빠뜨리고 식민지배와 침략으로 많은 국가, 특히 아시아 여러 국가의 사람들에게 크고 많은 손해와 고통을 줬다"며 "통절한 반성의 뜻을 나타내고 마음으로부터 사죄의 마음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2005년 발표된 고이즈미(小泉)담화는 이런 표현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았으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올해 전후 70년 담화에서 이를 어떻게 반영할지가 일본 정치권과 국제사회의 관심을 끌고 있다. 2015.2.24 sewonlee@yna.co.kr |
무라야마 "과거와 미래는 떼어놓을 수 없어"
아사히 인터뷰서 강조…"아베담화, 신의의 정신에 입각해야"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무라야마 도미이치(91·村山富市) 전 일본 총리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여름에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에 대해 "(아베 총리는) 미래지향을 강조하지만 과거와 미래는 떼어 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16일자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고 "아시아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침략은 역사적 사실이고, 특히 정치의 세계는 과거에 대한 반성에 입각해 장래 전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만이 우월한 민족'이라는 독선적인 내셔널리즘(민족주의)이 길을 잘못 가게 했다. 어느 나라에서나 같은 인간인데, 우쭐대는 기분으로 '대동아 전쟁'까지 나아갔다"고 지적한 뒤 "전쟁은 잘못된 내셔널리즘에서 생긴다"고 말했다.
무라야마는 아베 담화가 세계적 관심을 받는 상황에 언급, "신의를 다해 서로 신뢰하면 작은 것들은 극복해 나갈 수 있다"며 "무라야마 담화(전후 50년 담화)는 '의지하는데는 신의보다 나은 것이 없다'는 말로 끝나는데, 그 말의 정신으로 되돌아갈 때가 아닐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아베 총리가 2013년 12월 태평양전쟁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靖國)신사에 참배한 것은 국제사회와의 "약속 위반"이라고 규정했다.
또 일본이 무라야마 담화가 나온 1995년에 비해 우경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견해를 질문받자 "한마디로 말하자면 그렇다"면서 아베 정권의 집단 자위권 행사 용인 결정, 개헌 희망 피력 등을 거론하며 "일본이 점점 과거로 돌아가는 것 아닌가 하는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마이니치 신문이 14∼15일 실시한 전국 여론조사에서 '아베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에 식민지배와 침략이라는 단어를 넣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넣어야 한다'는 응답이 46%로, '넣지 않는게 좋다'(35%)는 응답보다 많았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