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시 부양정책 도입 시사…반부패·스모그 퇴치 의지 피력
![]() |
△ (AP=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의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식 직후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내외신 기자회견장에 도착, 손을 흔들고 있다. |
中총리 "지도자는 선대의 죄행 책임져야"…日태도 비판(종합2보)
"올해 중일관계 시험대이자 기회"…내외신회견서 이례적 공개비판
경기침체시 부양정책 도입 시사…반부패·스모그 퇴치 의지 피력
(베이징=연합뉴스) 홍제성 이준삼 특파원 =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15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비롯한 일본 지도자들을 향해 "역사를 직시할 것"을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또 중국 경제상황과 관련해서는 '장기간의 중고속 성장'을 낙관하면서도 성장 속도 등이 '예측 구간'을 벗어날 경우 적극적인 부양정책을 도입할 수 있다는 뜻도 시사했다.
리 총리는 이날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식 직후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내외신 기자회견을 하고 '중국인민의 항일 전쟁' 및 '세계 반(反)파시즘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리 70주년인 올해를 중일 관계의 '시험대'이자 기회라고 규정했다.
그는 "일본 지도자들이 역사를 직시하고 중일 관계를 개선·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유지할 때에만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고 중일 경제관계에서도 양호한 조건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중일 관계는 확실히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근본적 이유는 전쟁과 역사의 인식이 정확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정확한 역사관을 견지하고 역사를 거울로 삼아 미래로 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 국가 지도자는 전 세대가 창조한 성취를 계승하는 동시에 선대의 죄행과 역사적 책임도 마땅히 져야 한다"며 아베 총리의 과거사 부정 태도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중국 권력서열 2위인 리 총리가 공개석상에서 '일본 지도자'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일본의 과거사 태도를 직설적으로 비판한 것은 이례적이다.
그는 또 "일본 군국주의가 중국 인민에게 강요한 침략전쟁이 우리에게 거대한 재난을 초래한 동시에 결과적으로 일본 민중 역시 피해자로 만들었다"고 지적하며 올해 중국을 비롯한 각국이 계획 중인 제2차대전 기념 활동의 목적은 "비참한 역사의 비극을 새기고 되풀이되지 않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리 총리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 '7% 전후'의 의미와 향후 경제정책 운용 방향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중국이 '뉴노멀'(New normal·신창타이<新常態>) 시대에 들어섰다고 강조하며 "7% 전후 성장 목표도 표면적으로는 낮아진 것이지만 목표 달성은 쉬운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국 경제총량이 10조 달러 이상을 돌파했기 때문에 7% 성장은 매년 1개 중진국의 경제규모를 성장시켜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는 것이다.
그는 중국 경제가 하강압력에 직면해 있다는 점을 시인하면서도 "합리적 구간의 하한선에 접근한다면 조정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가파른 하강 움직임을 보일 경우 적극적인 경기부양 정책을 실시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리 총리는 "중국이 그동안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조정 수단이 많다"면서 구조적이고 지역적인 금융위기를 막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리 총리는 반(反)부패 문제와 관련해서는 '법 앞에는 만인이 평등하다'는 원칙을 갖고 부패 토양을 제거하고 제대로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공무원들을 엄격하게 처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심각한 스모그 문제와 관련, "오염원을 배출하는 자들에게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큰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경고하고 올해 스모그 대책의 핵심은 새로 시행되는 '환경보호법'의 강력한 집행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와 관련, 자신도 최근 몇권의 책을 사본 경험이 있다고 소개하면서 소비자 이익을 보호하고 경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의 발전을 독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 중국이 올해 홍콩 통제를 강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항인치항'(港人治港·홍콩인이 홍콩을 다스린다)은 중국정부의 기본정책"이라고 대답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