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손은 안돼"…文, 靑회담 성과내기 고심>
합의가능 의제에 집중할 듯…최저임금 10%대 인상요구 유력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박경준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7일 박근혜 대통령,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의 청와대 회동을 앞두고 주말과 휴일 '열공모드'에 들어갔다.
이번 회동 결과가 당장 코앞에 닥친 4·29 재·보궐선거 향방에 영향을 미치는것은 물론 2017년 대권 재수 프로젝트의 첫 단추를 꿰는 성격도 가미돼 있다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신중하게 접근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과거 영수회담 때마다 '얻은 게 없다'는 당내 비판에 홍역을 치렀던 '전철'을 답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회담 결정 다음날인 13일 전직 당대표들과 오찬을 함께 하며 조언을 경청한 문 대표는 주말인 14일에는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 실무진 보고를 포함한 각종 자료를 검토하며 예습에 몰두했다.
'유능한 경제정당'을 주제로 열리는 15일 저녁 최고위원회 워크숍에서도 당의 기조뿐만 아니라 이번 회담 의제와 전략 등을 함께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청와대가 회동의 성격을 박 대통령의 중동순방 결과 보고로 규정한 만큼 깊이있는 대화나 현안에 대한 의견 접근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자칫 박 대통령의 '소통 행보'에서 들러리만 설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문 대표는 당장 해결이 어려운 문제보다는 합의가 가능한 몇 가지 의제를 압축해 구체적인 목표치를 제시함으로써 가시적인 성과물을 도출하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당 정책위원회와 전략단위를 중심으로 구성된 영수회담 준비 실무팀을 통해 경제와 안보 분야에서 비교적 의견차가 적은 의제와 그에 대한 당의 요구사항을 정리 중이다.
논의 테이블에 올릴 유력한 의제 중 하나로 최저임금 인상이 꼽힌다.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최근 인상 필요성을 밝힌 만큼 충분히 의견 접근을 이룰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구체적인 목표치로는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10% 이상으로 요구해 관철시키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야당이 요구해 온 5·24 조치 해제 등의 민감한 남북문제 현안, 전·월세 상한제 도입 등 서민주거복지 정책 등은 영수회담을 통해 곧장 결과물을 내놓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라는 점에서 세부 의제에서 빠질 가능성이 크다.
구체적인 의제 선정과 합의 가능성 타진을 위해 새정치연합은 영수회담에 앞서 금명간 청와대와 물밑에서 사전 조율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두 자릿수대 최저임금 인상률 등 야당의 요구를 관철하는 대신 정부·여당에 내놓을 '당근'이 마땅치 않다는 점은 고민거리다.
대권을 염두에 두고 중도·보수로의 외연 확장에 주력해 온 문 대표가 이번 회동에서 얻어낼 것은 얻어내면서도, 양보할 것은 양보하는 안정감 있는 리더십 구축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