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지문인식기 없애고 정맥인식기 도입

편집부 / 2015-03-12 15:21:16
실리콘 지문으로 수당 타기도…"대리인증 못하게 만든다"
△ 대구시 북구 산격동의 경북도청 전경 전경

경북도 지문인식기 없애고 정맥인식기 도입

실리콘 지문으로 수당 타기도…"대리인증 못하게 만든다"



(대구=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경북도가 공무원에게 시간외 근무수당을 지급하기 위해 출·퇴근 시간을 기록하는 지문인식기를 정맥인식기로 바꾼다.

도는 도 산하기관, 소방본부 소속의 각 소방서와 지서 등에 사용 중인 지문인식기 실태를 파악해 조만간 교체할 방침이다.

도가 이렇게 나선 이유는 최근 허술한 지문인식기를 악용해 수당을 부당하게 타낸 사례를 적발했기 때문이다.

소방공무원 소방위 임모(59)씨와 이모(58)씨는 2012년 말부터 2014년 말까지 영주소방서 산하 119센터장으로 차례로 근무하면서 각각 300여만원의 야간 수당을 부당하게 탄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이들은 실리콘으로 뜬 손가락 본을 부하직원에게 출·퇴근 지문인식기에 찍도록 해 초과근무 수당을 탔다가 국무총리실 산하 부패척결추진단에 적발됐다.

소방교인 박모(40)씨는 이들에게 실리콘으로 손가락 본을 뜨는 방법을 가르쳐 준 혐의로 함께 조사를 받고 있다.

도는 소방본부에 이들의 징계를 의뢰하는 한편 실리콘 손가락 본 만으로도 지문을 대신할 수 있을 정도로 허술한 지문인식기를 없애기로 했다.

현재 도는 지문인식기보다 훨씬 정밀한 정맥인식기를 도입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정맥인식기는 개인마다 다른 손 등의 혈관 내부 모양이나 패턴을 인식해 직원 간 대리인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전남도와 충남 천안시 등 일부가 정맥인식기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지문인식기가 100만∼150만원대인 반면 정맥인식기는 600만원대여서 비싸다.

그럼에도 대리인증으로 초과 근무수당을 부당하게 타내는 범죄행위를 막을 수 있어 도입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지문인식기의 문제점이 노출돼 개인 확인을 강화하기 위해 정맥인식기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