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개인 이메일' 논란 확산…공화 "의혹만 키워"
공화 '삭제한 이메일' 집중공세…"이메일 서버 넘겨야"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미국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재직 중 '개인 이메일' 사용 논란이 좀체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클린턴 전 장관이 10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 연설 후 기자회견을 하고 국무부의 관용 계정을 이용하지 않고 개인 이메일만 사용한 것은 두 개의 계정을 유지하는 불편을 피하기 위한 취지였다고 해명했음에도 논란이 해소되기는커녕 오히려 확산되는 분위기다.
특히 "개인 이메일로 주고받은 6만 개의 이메일 가운데 절반 정도는 개인 일상사라 삭제했다"는 대목이 새로운 쟁점으로 부상하는 형국이다.
개인 일상사에 관한 이메일은 저장할 이유가 없다는 게 클린턴 전 장관의 주장이지만, 공화당은 자의적 판단 하에 이메일을 삭제하는 것은 맞지 않다면서 "이메일 삭제가 오히려 의혹만 더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 하원 벵가지특위의 트레이 가우디(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 위원장은 11일 MSNBC 인터뷰에서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가 우리 스스로 인생의 성적표에 직접 점수를 매기지 않고 또 우리 자신에게 벌칙을 부과하지도 않는다는 점"이라면서 "어떤 것이 공적 이메일이고 어떤 것이 사적 이메일인지를 클린턴 전 장관 본인이 판단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적 이메일이 하나도 삭제되지 않았다는 점을 증명하려면 "개인 이메일 서버를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제3의 당(단체)에 넘겨야 한다"고 촉구했다.
가우디 위원장은 전날 발표한 성명에서 "클린턴 전 장관의 기자회견은 (의혹에 대한) 대답보다는 궁금증을 더 자아낸 회견이었다"면서 "클린턴 전 장관이 특위에 두 번은 나와서 증언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벵가지특위는 9·11 테러 11주년인 2012년 9월 11일 리비아 무장반군이 벵가지 미 영사관을 공격해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대사 등 미국인 4명이 숨진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로, 특위는 이미 클린턴 전 장관에게 벵가지 사건과 관련한 모든 이메일을 제출하라고 요구한 상태다.
공화당의 잠룡 중 한 명인 랜드 폴(공화·켄터키) 상원의원도 이날 NBC 방송 인터뷰에서 클린턴 전 장관의 '편의상 개인 이메일 사용' 해명을 겨냥해 "편의가 국가 안보보다 앞서서는 안 된다"고 꼬집었다.
공화당은 모처럼 찾아온 '호재'를 살리기 위해 앞으로도 당분간 개인 이메일 논란을 부각시키면서 '힐러리 검증'의 고삐를 바짝 죌 것으로 알려졌다.
클린턴 전 장관 공격의 최첨병 역할을 하는 벵가지특위와 더불어 너도나도 '힐러리 대항마' 자처하는 공화당 잠룡들의 공세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