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세계유산 등재 고리로 북한과 학술교류 추진

편집부 / 2015-03-10 05:58:00
'한양도성·평양성', '성균관·국자감' 등 공동연구 모색


서울시, 세계유산 등재 고리로 북한과 학술교류 추진

'한양도성·평양성', '성균관·국자감' 등 공동연구 모색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한양도성과 성균관, 문묘 등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서울시가 해당 분야를 내세워 북한과 학술교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서울시는 경평전과 서울시향 평양공연 등을 추진해왔으나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기대만큼 속도가 나지 않자 학술교류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시는 지난달 역사 분야의 교류를 주도하는 남북역사학자협의회에 서울과 평양 간 학술교류 아이템을 자문했다.

협의회는 우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서울 한양도성과 평양역사지구 도성의 조영 원리와 구조를 비교 연구할 것을 제안했다. 서울·평양 도성 유적을 공동 발굴하게 되면 교류도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협의회는 또 서울시가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성균관도 개성의 국자감과 공동연구를 하면 등재 가능성이 더 커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협의회는 일제강점기 식민유산과 관련해 건축물과 철도시설, 군사기지 등에 대한 공동조사와 연구도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다양한 종목의 전통공예 전승과 보존이 이뤄지는 두 수도의 특성을 살린 전시도 교류의 물꼬를 틀 방법으로 제시됐다.

특히 전시회처럼 저작권이 지급될 수 있는 교류 분야에 대해서는 북한이 우호적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협의회는 강조했다.

협의회는 또 민족 간 동질성을 느끼고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세시풍속이나 전통음식, 사투리 등 민속 분야의 공동조사도 학술교류의 아이템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역사문화재과 관계자는 "과거 학술교류는 이뤄졌는데 이명박 정부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끊겼다"며 "지자체가 남북교류의 주체가 될 수는 없기 때문에 중앙정부 허가가 필요하며 시의회와 협의해 예산도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