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엔지니어상에 김정수·최준석·권태욱씨

편집부 / 2015-03-09 12:00:09
△ 현진제업㈜ 김정수 부장

3월의 엔지니어상에 김정수·최준석·권태욱씨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현진제업㈜ 김정수 부장, SK하이닉스㈜ 최준기 수석연구원, SK이노베이션㈜ 권태욱 수석연구원을 3월의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중소기업부문 수상자인 김정수 부장은 20여년 간 각종 기능성 종이컵 성형기를 개발해온 엔지니어로 컵의 분당 생산성을 종래 약 80개에서 약 160개로 2배 이상 높이고 20여 개국에 2천500만달러의 수출액을 달성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또 품질 개선과 새로운 수요창출을 위해 종이컵 뚜껑기계, 사각컵 성형기, 케이크컵 성형기, 스카이빙 성형기 등을 개발, 현진제업㈜이 국내 제일의 종이컵 성형기 생산기업으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기업부문 수상자인 최준기 수석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 부분에서 D램 제작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국산화·다변화 하고, 저비용 고성능 웨이퍼 세정 용액과 웨이퍼 연마 공정의 실시간 연마 프로파일 제어 시스템 등을 개발한 공로가 높이 평가됐다.

최 수석연구원은 D램 제작에 사용되는 세정용 화학용액, 연마공정에 사용되는 슬러리, 부품 등의 국산화, 다변화로 연간 57억여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고, 반도체 웨이퍼 평탄화에 실시간 제어시스템을 적용해 후속 공정의 정밀도를 향상, 수율을 높여 월 486억원의 수익증대 성과를 이뤘다는 평가를 받았다.



여성 부문 수상자인 권태욱 수석연구원은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던 신소재 그린폴(GreenPol™)의 성능 개선과 용도 개발을 주도, 인조피혁, 생분해 필름, 핫멜트용 접착제, 잉크, 페인트 등 다양한 분야에 상용화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또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폴리우레탄 생산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폴리올과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를 생산하는 신기술도 개발했다. 이는 그린폴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신소재로 전환하는 신기술로 온실가스 활용 분야에서 세계 기술을 선도하고 국내 정밀화학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에서 기술혁신을 장려하고 현장 기술자 우대 풍토를 조성하고자 2002년 제정됐으며, 매월 중소기업과 대기업 부분 각 1명씩과 연간 여성 엔지니어 6명을 선정해 장관상을 수여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