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자체장 68% '여성등용' 수치목표 생각 안해

편집부 / 2015-03-08 12:07:22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014년 9월 10일 도쿄 주재하는 여성대사들을 총리 관저로 초청해 오찬을 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당시 오찬에서 "여성의 힘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아베 정권 성장전략의 큰 기둥"이라며 일본의 여성 정책을 홍보했다. (교도=연합뉴스 DB)

일본 지자체장 68% '여성등용' 수치목표 생각 안해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의 지방자치단체장 10명 가운데 7명 정도는 여성 등용 목표 설정을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교도통신이 일본의 광역자치단체장인 도도부현(都道府縣) 지사와 기초자치단체인 시·초·손(市町村)장을 상대로 벌여 8일 결과를 공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7.6%는 과장급 이상 관리직 여성의 비율 등 여성 등용의 수치 목표에 관해서 아직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미 목표를 설정한 지자체는 18.8%, 목표 설정을 이제 추진할 계획인 지자체는 12.2%였다.

예를 들어 오카야마(岡山)현 가사오카(笠岡)시는 과장급 이상 관리직 여성의 비율을 2017년도까지 20%로 늘린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여성 등용 목표 설정을 생각하지 않는 지자체장은 그 이유에 관해 '행정개혁 등으로 직원 수가 줄어 구체적인 목표 설정이 어렵다',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이 채용되는 때도 있으며 관리직은 능력에 따라 임명해야 한다', '지자체의 재량에 맡겨야 한다', '가정 사정으로 승진을 거부하는 여성 직원도 있다'는 등의 견해를 밝혔다.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지도적 위치에 있는 여성을 30%까지 늘린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나 대기업이 여성 등용에 관한 수치 목표를 설정해 공표하도록 하는 법을 만들려고 하고 있다.

내각관방의 담당자는 관련 법이 성립한 후 지자체의 여성 등용에 관해 "일률적으로 목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치단체가 각자의 상황에 맞춰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교육위원회 제도 변경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에 관해 57.5%가 '현재와 그리 달라지지 않는다'고 반응했고 33.7%는 '더 강해진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1∼2월 일본의 전국 자치단체장을 상대로 이뤄졌으며 99%인 1천776명이 응답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