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남학생, 여학생보다 학업 성취도 낮아"< OECD 보고서>

편집부 / 2015-03-05 23:09:25
국제 학업성취도평가…남학생 독서보다 비디오게임 더 많이 해

"10대 남학생, 여학생보다 학업 성취도 낮아"< OECD 보고서>

국제 학업성취도평가…남학생 독서보다 비디오게임 더 많이 해



(파리=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10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업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국제 학업성취도평가(PISA) 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PISA 기준 이하 성적을 받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읽기와 수학, 과학 세 과목 가운데 한 과목에서라도 PISA 기준 이하 성적을 받은 학생을 성별로 구분해 보면 남학생이 61%, 여학생이 39%로 나타났다.

한국은 남학생 66%, 여학생 34%로 남학생 비율이 OECD 평균보다 다소 높았다.

이번 조사는 2012년 OECD 회원국과 비회원국 65개국의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OECD는 남학생의 숙제 시간이 여학생보다 주당 평균 한 시간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이는 읽기와 수학, 과학에서 낮은 성적으로 직결됐다고 분석했다.

방과 후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비디오 게임을 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쓴 반면 소설과 같은 어려운 책을 읽는 데는 시간을 덜 썼다.

OECD는 여학생은 소설과 잡지를, 남학생은 만화와 신문을 좋아하는 점을 고려해 교사와 학부모가 학생 독서 지도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나 모든 조사대상국에서 이 나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을 잘한 것으로 밝혀졌다.

OECD는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수학이나 과학 문제를 푸는데 자신감이 부족하다"면서 "성적이 좋은 여학생도 수학에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그 결과 조사 대상 여학생 가운데 5% 미만이 과학이나 기술, 공학, 수학 관련 직업을 얻고자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학생은 20%가 이런 직업을 희망했다.

OECD는 이런 직종이 보수가 높을 뿐 아니라 수요도 많아서 남녀의 선호도 차이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