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간 30분가량 수술 성공적…3∼4일 입원치료 필요"
![]() |
| △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수술 경과 브리핑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5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수술 주치의인 유대현 성형외과 교수가 수술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
美대사 치명상은 피해…"경동맥 비껴가…왼팔 관통상"(종합)
상처 길이 11㎝, 깊이 3㎝…새끼손가락 신경 손상
"2시간 30분가량 수술 성공적…3∼4일 입원치료 필요"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의 수술을 집도한 신촌세브란스병원 측은 5일 "수술은 2시간 30분가량 진행됐으며 성공적으로 끝났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피습을 당해 오른쪽 얼굴과 왼쪽 팔 쪽에 자상을 입은 리퍼트 대사는 강북삼성병원에서 응급 치료를 받은 뒤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유대현 성형외과 교수와 최윤락 정형외과 교수의 집도로 수술을 받았다.
병원에 따르면 리퍼트 대사는 이날 피습으로 새끼손가락의 찰과상, 약지에1.5㎝크기의 상처, 전완부 안팎 관통상, 오른쪽 얼굴에 자상 등을 입었다.
정남식 연세의료원장은 이날 수술 후 브리핑에서 "얼굴 오른쪽 상처를 80여바늘 꿰맸고 왼쪽 팔 전완부에 신경접합술을 시행했다"고 설명했다.
리퍼트 대사의 얼굴 봉합 수술을 담당한 유 교수는 "광대뼈에서 턱까지 길이 11cm, 깊이 3cm 정도의 깊은 상처였는데 천우신조로 (흉기가) 주요 신경과 침샘 등을 비껴가 기능에는 큰 문제가 없을 전망"이라며 "다만 조금만 더 (흉기가) 들어갔으면 경동맥이 손상됐을 수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리퍼트 대사의 얼굴 상처는 불과 1∼2cm 차이를 두고 목 쪽의 경동맥을 비껴갔다고 유 교수는 전했다.
유 교수는 또 "기능적인 후유증은 없을 것 같지만 흉터가 전혀 없는 것처럼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1∼2년이 지나면 희미해져서 눈으로는 알아보지 못할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형외과 수술을 집도한 최 교수는 "리퍼트 대사가 공격을 팔로 막는 과정에서 왼쪽 팔의 전완부 중간 부분에 새끼손가락에서 엄지손가락 방향으로 3cm가량 관통상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며 "새끼손가락의 척골 신경과 엄지와 검지를 펼 때 쓰는 신경이 손상돼 봉합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어 "힘줄 손상이 동반됐기 때문에 4주 이상 고정할 필요가 있지만 기능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새끼손가락 쪽에 감각 저하가 예상되지만 6개월∼1년 정도 지나가면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리퍼트 대사가 피습 직후 강북삼성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가 세브란스병원으로 옮긴 이유에 대해서는 "평소 리퍼트 대사의 부인 로빈 여사가 우리 병원(세브란스)에서 치료를 받는 등 친분이 있어 옮겨서 수술을 받기로 했다"고 병원 측은 전했다.
리퍼트 대사는 현재 병실로 옮겨져 안정을 취하고 있으며 수술 경과를 지켜보기 위해 3∼4일가량 입원치료를 받을 예정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