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원·보좌관 후원금 받는 사례도 여전>(종합)

편집부 / 2015-03-03 16:32:29
이익단체 기부도 여전…'입법비리' 수사 의원들 공개 고액후원 저조

<지방의원·보좌관 후원금 받는 사례도 여전>(종합)

이익단체 기부도 여전…'입법비리' 수사 의원들 공개 고액후원 저조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비록 일부이기는 하지만 국회의원이 자신의 지역구에 속한 지방의원한테 후원금을 받거나 심지어 자신의 보좌관으로부터 후원금을 모금하는 사례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3일 정치자금법에 따라 공개한 '2014년 300만원 초과 기부자 명단'에 따르면 모두 6명의 새누리당 의원이 자신의 지역구 소속 지방의원으로부터 후원금을 기부받았다.

지방의원 중 일부는 정당인이나 자영업자로 포장되거나 익명으로 후원하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사정까지 감안하면 지역구 의원 후원 사례는 실제로는 더 많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충남 부여·청양이 지역구인 이완구 의원(현 국무총리)는 지난해까지 자신의 지역구 도의원이었던 유병기 전 충남도의회 의장으로부터 500만원의 후원금을 받았다.

19대 국회 상반기 국회부의장을 지낸 4선의 이병석 의원(포항 북구)은 모두 3명의 도의원으로부터 각각 3월과 6월 2차례에 걸쳐 300만원과 200만원 등 총 500만원씩을 후원받았다. 총후원액은 1천500만원에 달한다.

대전 동구청장 출신인 이장우 의원(대전 동구)은 지역 시의원으로부터 매월 40만원씩 모두 14차례에 걸쳐 520만원을 쪼개 후원금을 받았다.

김을동 최고위원(서울 송파병)은 지역 구의원으로부터 500만원을 후원받았다.

공무원 출신인 심학봉 의원(구미갑)도 시의원에게 500만원을 기부받았고, 대학교수 출신인 박성호 의원 역시 자신의 지역 시의원으로부터 13차레에 걸쳐 모두 340만원을 모금했다.

새누리당 윤상현, 김태원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한명숙, 이목희, 안규백, 임내현 의원은 정당인 혹은 정치인으로 직업이 표시된 인사들로부터 각각 500만원에서 50만원까지 후원금을 나눠 받았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은 기부 당시인 지난해 1월에는 의사 신분이었던 자신의 측근인 윤장현 광주시장으로부터 500만원을 모금했다.

이들 가운데 대부분 후원금이 지방선거가 치러진 지난해 6월 이전 상반기에 집중, 일각에선 공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역 국회의원에게 고액후원 형식을 빌려 정치자금을 우회 지원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자신의 보좌진으로부터 후원금을 받은 의원도 눈에 띄었다.

새누리당 김을동 최고위원은 자신의 보좌관으로부터 3차례에 걸쳐 모두 400만원을 후원금으로 기부받았고, 새정치민주연합 신계륜 의원도 자신의 비서로 등록된 인물로부터 350만원을 모금했다.

신 의원측은 이에 대해 "회계담당 여직원의 실수로 후원금에 오류가 발생해 본인이 후원금 형태로 변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일부 의원은 자신이 속한 상임위와 연관된 기업이나 이익단체로부터 공개 후원금을 받기도 했다.

국회 환노위원인 새누리당 최봉홍 의원은 전국항운노동조합위원장으로부터 다섯차례에 걸쳐 모두 100만원씩 모두 500만원을 후원받았고, 국토부 차관출신으로 국토교통위원인 김희국 의원도 건설사인 대원토건대표에게 매달 30만원씩 모두 11차례에 걸쳐 330만원을 기부받았다.

'입법비리' 혐의로 기소된 여야 의원들의 공개적인 고액 후원자는 많지 않았다.

철도비리로 구속된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은 자영업자 7명으로부터 3천500만원을, 같은당 송광호 의원은 3명으로부터 1천500만원을 후원받았다.

새정치연합 신계륜 의원은 회사원과 기업인 등 4명에게 1천930만원을, 신학용 의원도 회사원 등 8명에게 2천900만원을 고액 기부받았다. 김재윤 의원은 12명에게 2천550만원을 받았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