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LTE 방식 국가재난통신망 구축계획초안 공개(종합)

편집부 / 2015-02-24 17:49:12
안전처, 추진계획 공청회 개최…구축비 1조200억·운영비 7천730억

PS-LTE 방식 국가재난통신망 구축계획초안 공개(종합)

안전처, 추진계획 공청회 개최…구축비 1조200억·운영비 7천730억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시스템 구축에만 1조원이 넘게 투입되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재난통신망) 구축사업 추진계획 초안이 공개됐다.

국민안전처는 24일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청회를 열어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사업으로 마련한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 세부 추진계획안'을 발표했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은 소방, 경찰, 군 등 재난대응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국 단일 무선통신망을 '첨단' 롱텀에볼루션(LTE) 방식으로 구축하는 사업이다.

재난통신망은 재난 발생 때 대응기관이 단일통신망으로 신속하게 정보를 교환, 국가 전체의 초기대응역량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구축된다.

완성된 재난통신망은 재난 대응 관련 8대 분야 330개 기관이 이용하게 된다.

앞서 정부는 재난통신망에 700MHz 대역 20MHz 폭을 배정했다.

재난통신망 구축 세부추진계획을 보면 안전처가 구축·운영 전반을 총괄·관리하며, 미래창조과학부는 국제표준화 등 PS-LTE(공공안전 롱텀에볼루션) 기술방식에 대한 정책지원을 담당하고,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는 철도·해양 분야와 통신망 연계를 위한 기술검증 및 기지국 공동설계를 맡게 된다.

재난통신망은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핵심 기반 인프라인 점을 고려해 정부가 전담조직을 통해 직접 운영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고정기지국은 기존 철탑을 최대한 활용하되 주요시설이 위치한 지역에는 신규 철탑을 설치하고, 함정(해양경비안전본부)·차량·휴대 이동기지국도 설치한다.

단말기는 무전기 또는 스마트폰 타입으로 경찰(12만 7천295대), 소방(3만 2천995대), 지자체(1만 8천150대), 해경안전본부(7천869대), 군(4천214대) 등 총 19만 7천340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재난통신망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위해 사전품질인증제도와 보안인증제도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안전처는 이 밖에도 ▲ 운영센터 구축 ▲ 네트워크 구축 ▲ 철도망과 해상망 연계 등 잠정계획을 공개했다.

재난통신망 사업은 구축에만 2017년까지 9천241억원(부가가치세 포함 1조 165억원)이 필요하며, 운영비는 올해부터 2024년까지 7천728억원으로 추산됐다.

오는 4월 시작할 예정인 시범사업(강릉, 평창, 정선)에는 424억원이 배정됐다.

사업자 선정 단계에서 발주방식(일괄, 분리, 혼합)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안전처는 이날 공청회에 나온 의견을 반영해 다음달에 세부 추진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