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UCLA 의료센터서 '슈퍼박테리아' 감염 (AP=연합뉴스)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로널드 레이건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의료센터에서 이 병원 임상역학·감염예방센터 책임자인 자카리 루빈(왼쪽) 박사가 이 병원에서의 '슈퍼박테리아' 감염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병원 측은 환자 7명이 슈퍼박테리아의 일종인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CRE)'에 감염됐으며 이 중 2명은 숨졌다면서, 환자 7명은 지난해 10월부터 올 1월까지 췌장 및 담관질환 진단을 위해 사용한 내시경을 통해 CRE에 감염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국내서도 슈퍼박테리아 감염 내시경 파악 나서
췌담도학회, 각 병원에 내시경 기구 오염 차단 당부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미국 로스앤젤레스(LA)의 한 병원에서 췌장·간 질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사용한 내시경이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돼 2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국내 의료계에서도 이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대한췌담도학회(이사장 김호각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교수)는 24일 각 병원의 회원 의사들에게 보낸 권고문을 통해 담도내시경 기구의 오염을 차단하는 가이드라인 준수를 당부하는 한편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가 발견되는 사례를 모아 분석하겠다고 밝혔다.
담도내시경은 담도와 췌관의 질환, 즉 담관결석이나 담관암, 췌장암 등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장비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최근 미국 LA의 UCLA 로널드레이건병원과 시애틀의 버지니아메이슨병원에서 최근 수년 동안 100명 이상의 환자가 담도내시경 시술 이후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슈퍼박테리아(CRE)에 감염돼 사망자가 다수 발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학회는 "미국에서 발생한 감염 경로는 담도내시경에 사용된 십이지장경(duodenoscope)으로, 십이지장경은 위나 대장 내시경과는 구조가 다르게 담도에 기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특수 장비(elevator)가 부착돼 있다"면서 "이 부분의 소독이 어려운 구조적 특성 때문에 감염이 일어난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이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의 권고사항을 준수해 달라고 학회는 당부했다.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는 이번 사고가 발생한 뒤 현재 각 병원에서 보유 중인 담도내시경용 십이지장경에 대해 항생제 내성균의 오염 여부를 확인하고, 이후에도 적절한 추적검사를 하도록 권고했다. 또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된 환자에게는 담도내시경 시술을 선별적으로 하고, 시술을 마치 후에는 십이지장경을 반드시 세척할 것을 주문했다.
대한췌담도학회 정책질관리위원회 박선미 이사는 "국민이 안심하고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의료진과 병원에 내시경 기구의 오염을 차단하는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알리고 모니터링 하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