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먹거리 찾아라"…충북도 미래성장동력 발굴 나서

편집부 / 2015-02-24 08:28:50
'100년 프로젝트 TF' 내달 출범…정부기관·출연硏 정책 제안자 참여
아이템 단순 발굴 탈피…'프로젝트 선정-기획-정부제안-피드백' 지향
△ "4% 경제 만들자"…충북도, 비전 선포식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이시종 충북지사는 지난 12일 라마다플라자 청주호텔에서 '충북경제 4% 실현 비전 선포식'을 열고 '2020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2015.2.24 <<충북도 제공>> ks@yna.co.kr

"100년 먹거리 찾아라"…충북도 미래성장동력 발굴 나서

'100년 프로젝트 TF' 내달 출범…정부기관·출연硏 정책 제안자 참여

아이템 단순 발굴 탈피…'프로젝트 선정-기획-정부제안-피드백' 지향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전국 대비 만년 3%에 그치는 경제 규모를 2020년까지 4%대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한 민선 6기 충북도의 사업 추진 시스템이 확 바뀐다.

지금까지의 사업 방식이 정부예산 확보에 필요한 아이템을 그때그때 발굴하는 단거리 달리기 방식이었다면 앞으로는 프로젝트 선정-사업화 기획-정부 제안-미반영 사업 재추진 여부 결정이라는 마라톤 방식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북도는 연중 상설 운영될 '충북미래 100년 프로젝트 태스크포스(TF)'를 다음 달 발족한다.

이 TF는 4% 경제 실현의 디딤돌 기능을 하게 될 '100년 먹을거리' 사업을 발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TF에는 도 소속기관, 대학, 연구기관은 물론 정부기관과 정부 출연연구기관까지 포괄하는 산·학·연·관 전문가 20∼30명이 참여하게 된다.

충북도 입장에서 그동안 방관자 수준에 불과했던 정부기관이나 출연연구기관까지 도정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자로 끌어들이겠다는 얘기다.

충북도가 이런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민선 지방자치단체 출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신규 프로젝트를 정부에 제안해 예산을 확보하려면 최소한 1∼2년 전부터 기획하고 타당성을 분석하는 연구용역 절차를 거쳐 소관 부서별로 실행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사전 기획 과정을 거쳐야 프로젝트 실행률이 높아지지만 그동안 아이디어를 짜내 정부에 제안한 뒤 채택되면 다행이고 반영되지 않으면 버렸던 것이 그간의 관행이다.

도의 한 관계자는 "지금까지 정부예산을 딸 수 있는 눈에 띄는 당면 사업에만 치중했지 대형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데는 소홀했던 게 사실"이라고 털어놨다.

충북도는 이런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난달 미래전략기획단을 설치한 뒤 이 부서를 중심으로 '충북미래 100년 프로젝트 TF' 구성을 추진해 왔다.

앞으로는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화 연구용역을 미리 거친 뒤 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는 등 프로젝트 채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모든 사업을 신중하게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물론 정부가 수용하지 않은 프로젝트도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종합적으로 관리된다.

이런 사업 추진 절차가 정착된다면 다양한 루트를 통해 사업 아이템 발굴이 가능할 것으로 충북도는 기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충북도가 프로젝트 TF를 운영한 적이 없어 올해나 내년에 어떤 성과가 나올지는 미지수"라며 "그러나 해를 거듭할수록 이 TF의 파워가 발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