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스승' 12명 선정…안창호·조만식 포함(종합)
교육부, 3월에 백농 최규동 선생 홍보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교육부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스승을 존경하는 풍토를 조성하고자 '이달의 스승' 12명을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달의 스승'에는 신민회, 흥사단 등에서 독립운동을 하고 대성학교, 점진학교를 설립한 도산(島山) 안창호 선생과 오산학교 교사로 있다가 3·1운동 때 평양에서 제2차 만세시위운동 조직책임자로 활동한 고당(古堂) 조만식 선생이 포함됐다.
심훈의 소설 '상록수'의 실제 모델로 1930년대 농촌계몽운동을 펼친 최용신 선생, 이화학당과 배재학당 등에서 근무한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 일제강점기 때 무궁화를 통한 애국심 함양에 노력한 남궁억 선생도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 한국 YWCA를 창설한 김필례 여사, 항일투쟁의 중요 거점이었던 간도 명동촌을 개척한 김약연 선생, 보성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민족교육 발전에 힘쓴 오천석 선생, 일제강점기 서울 양정고보에서 학생들에게 독립정신을 고취한 김교신 선생도 뽑혔다.
교육부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작년 10∼11월 국민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훌륭한 스승을 추천받았고 교육·역사학계 인사들로 '이달의 스승' 선정위원회를 구성했다.
선정위원은 퇴직교원들의 모임인 한국교육삼락회총연합회 김정호 회장을 위원장으로 초등교원 1명, 중등교원 2명,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자를 포함한 대학교수 4명,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관계자 1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됐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한국교육삼락회는 보수 성향의 단체로 평가된다.
선정위는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 무렵까지 우리나라 근대교육에 기여한 인물을 중심으로 공적조사를 했고 교사로서 활동 여부, 교육 발전 공헌도, 교육 현장의 긍정적 효과 등을 기준으로 심사했다.
교육부는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까지 매달 한 명씩 '이달의 스승'을 차례로 소개하는 포스터, 동영상, 교육자료 등을 제작해 각급 학교에 보급할 계획이다.
다음 달에는 중동학교를 설립하고 서울대 초대 총장을 지낸 백농 최규동(1882∼1950) 선생의 삶이 홍보된다.
최규동 선생은 일제강점기에 '우리의 손으로 우리의 자제를 교육시키겠다'는 일념으로 끝까지 창씨개명을 하지 않고 우리말 수업을 고수했다.
<표> 교육부·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선정 '이달의 스승'(교육부 자료)
┌──┬────────┬────────────────┬────────┐
│ 월 │이 달의 스승│공 적(요약)│비고│
├──┼────────┼────────────────┼────────┤
│ 3│최규동│교육자이자 민족운동가. 대성, 휘 │건국훈장 국민장 │
││1882~1950│문 등에서 교사로서 민족정신과 구│(1968)│
│││국애족 정신을 고취. 조선교육회를││
│││조직, 활발한 계몽활동 전개. 광복││
│││후, 한국교육위원회 위원, 조선교 ││
│││ 육연합회 회장. 중동 중고등학교 ││
│││설립자, 초대 서울대총장. 일제강 ││
│││점기 ‘우리의 손으로 우리의 자제││
│││를 교육시키겠다’는 일념으로 창 ││
│││씨 개명 거부, 조회 때마다 우리말││
│││로 훈시││
│││ ☞ 대성, 휘문, 중동학교 등에서 ││
│││근무││
├──┼────────┼────────────────┼────────┤
│ 4│최용신│1931년 YWCA의 농촌지도원 자격으 │건국훈장 애족장 │
││1909~1935│로 경기 화성(현 수원) 샘골에 파 │(1995)│
│││ 견되어, 화성 샘골에서 부락민과 ││
│││함께 샘골학교를 세워 농촌의 청소││
│││년 교육과 농촌 계몽에 힘씀. 심훈││
│││의 장편소설 ‘상록수’의 여주인 ││
│││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로서, 일제 ││
│││강점기 학교에서 쫓겨난 학생들을 ││
│││마을 학교에 불러 모아 한글과 민 ││
│││ 족정신을 가르쳤으며, 무지와 가 ││
│││난, 비위생에 신음하는 농촌의 청 ││
│││년, 부녀자에 대한 문맹퇴치 교육 ││
│││과 농촌개혁 운동에 전념.││
│││☞ 화성 샘골학교 설립 및 근무 ││
│││││
├──┼────────┼────────────────┼────────┤
│ 5│오천석│교육학자. 인천영화초에서 학생을 │ 학술원 공로상│
││1901~1987│가르쳤으며, 보성전문학교 교수로 │(1981), 국민훈장│
│││ 재직하면서, 한국민족교육발전을 │ 무궁화장(1987) │
│││위하여 힘썼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중국 상해로 피신. 광복과 함께 귀││
│││국하여 교육계 원로로 구성된 교육││
│││ 위원회 조직, 6334제의 기간학제 ││
│││제정, 국립서울대창설 주도, 민주 ││
│││ 주의와 아동존중사상을 근간으로 ││
│││하는 새교육운동 추진, 문교부장관││
│││역임, 교육대학 신설, 향토학교운 ││
│││동 등 교육민주화 추진││
│││ ☞ 영화초등학교, 보성전문학교, ││
│││이화여대에서 근무││
│││││
├──┼────────┼────────────────┼────────┤
│ 6│김약연│간도의 첫 한국인 이주 공동체였던│이달의 독립운동 │
││1868~1942│명동촌을 개척(1889), 명동학교를 │가(1997), 건국훈│
│││세워(1908) 청소년 교육과 여성교 │장 독립장(1977),│
│││육에 헌신. 일제에 의해 명동학교 │대통령표창(1963)│
│││가 폐쇄된 후 은진중학교 한문 교 ││
│││사로서 윤동주, 문익환, 나운규 등││
│││의 제자 양성. 이후 북간도 민족운││
│││ 동 단체인 간민회 회장으로 활동 ││
│││☞ 명동, 은진중학교에서 근무││
│││││
├──┼────────┼────────────────┼────────┤
│ 7│김교신│양정고보, 개성 송도고보, 경기중 │대한민국 독립유 │
││1901~1945│학 등에서 민족주의 교육과 국적있│공자(건국포장)추│
│││는 역사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독│서(2010)│
│││립정신 고취. 양정고보 시절, 학생││
│││들과 서울 근교의 고적과 능묘, 사││
│││찰 등을 답사하면서 민족의식과 역││
│││사 감각을 고취하여 독립사상과 자││
│││립의지 심어 줌.││
│││☞ 양정고보, 개성 송도고보, 경기││
│││중학 등에서 근무││
├──┼────────┼────────────────┼────────┤
│ 8│조만식│민족교육자. 정주의 오산학교 교사│ 건국훈장(1970) │
││1983~1950│ 로 있다가, 1915년 교장. 주야로 ││
│││학생과 함께 생활하면서 교육전념.││
│││3.1운동으로 투옥, 출옥 후 오산학││
│││교장 취임. 민족 자립경제를 위해 ││
│││조선 물산장려회 조직, 숭인중학교││
│││장. 조선일보사 사장. 인재양성위 ││
│││해 민립대학 설립 운동││
│││☞ 오산, 숭인중학교에서 근무││
│││││
├──┼────────┼────────────────┼────────┤
│ 9│남궁억│독립운동가, 교육자, 언론인. 독립│건국훈장 독립장 │
││1863~1939│협회에서 활약. 교육현장에서 무궁│ (1977), 이달의 │
│││화 살리기를 위해 애쓰시고, 제자 │독립운동가│
│││들에게 애국심 키워주신 스승. 흥 │ (1994), 이달의 │
│││화학교에서 영어와 국사 교육, 배 │ 문화인물(2000) │
│││화학당 교사로 있으면서 교과서 편││
│││찬, 상동청년학원 원장 역임, 애국││
│││ 가사 보급, 한글서체 창안 및 보 ││
│││급.││
│││☞ 흥화, 배화학교, 모곡학교에서 ││
│││근무││
├──┼────────┼────────────────┼────────┤
│ 10 │주시경│개화기의 국어학자로, 우리말과 한│건국훈장 대통령 │
││1876~1914│글의 전문적 이론 연구와 후진 양 │장(1980), 이달의│
│││성으로 한글의 대중화와 근대화에 │문화인물(1991), │
│││개척자 역할을 함. 숙명여고, 이화│이달의 독립운동 │
│││학당 등 교사로 활동, 스승은 교단│가(1999)│
│││에 서시매, 언제든지 용사가 전장 ││
│││에 다다른 것과 같은 태도로써 참 ││
│││되게, 정성스럽게, 뜨겁게, 두 눈 ││
│││을 부릅뜨고 학생을 응시하고, 거 ││
│││품을 날리면서 강설││
│││☞ 숙명여고, 이화학당, 배재학당 ││
│││등에서 근무││
├──┼────────┼────────────────┼────────┤
│ 11 │안창호│한말의 독립운동가, 사상가. 독립 │건국훈장 대한민 │
││1878~1938│협회, 신민회, 흥사단 등에서 활발│국장 추서(1962),│
│││ 하게 독립운동활동을 함. 대성학 │이달의 문화인물 │
│││교, 점진학교, 미국에서 대한인공 │(1992.11), 이달 │
│││립학교 창설하여 교포 교육. 청년 │ 의 독립운동가│
│││들에게 애국정신을 깨우치며 민족 │(2005)│
│││교육 실시, 인재양성을 통해 독립 ││
│││의 기초 마련 주력. 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 ☞ 대성, 점진, 대한인 공립학교 ││
│││설립 및 근무││
│││││
├──┼────────┼────────────────┼────────┤
│ 12 │황의돈│ 간도의 명동서숙을 거쳐, 1911년 │ 대통령문화훈장 │
││1887~1964│평양 대성학교에서 국사 교육을 통│(1962)│
│││해 민족정신 고취. 국사 강의를 문││
│││제삼은 일본경찰에 의해 휘문에서 ││
│││파면. 휘문의숙, 보성학교 교사 역││
│││임. 광복 후 문교부 편수관, 단국 ││
│││대, 동국대 교수 역임││
│││☞ 명동서숙, 대성, 휘문, 보성학 ││
│││교에서 근무││
│││││
├──┼────────┼────────────────┼────────┤
│ 1│김필례│교육자로서 YWCA창설, 여성운동가 │국민훈장 모란장 │
│(201│1891~1983│및 농촌운동, 정신여중 교사 및 교│(1972)│
│ 6) ││장, 정신학원 이사장, 수피아여중 ││
│││ 고 교장. 조선에서 대한민국으로 ││
│││이어지는 민족 학문, 교육의 역사 ││
│││적 정통성과 자부심을 고취하는 소││
│││중한 스승││
│││☞ 정신여중, 수피아여중고에서 근││
│││무││
├──┼────────┼────────────────┼────────┤
│ 2│이시열│신민회 계열의 국권회복을 위한 비│대통령표창│
││1892~1980│밀청년단체인 대동청년당 조직하여│(1963), 건국훈장│
│││ 독립운동 전개, 만주로 망명하여 │애국장(1991)│
│││동창학교(東昌學校)를 설립하고 교││
│││사가 되어 동포 자제들에게 독립사││
│││상을 고취하는 등 교육구국운동에 ││
│││헌신. 3·1운동 후 서간도에서한││
│││족회(韓族會)를 창립하는 데 중요 ││
│││한 역할, 기관지 한족신보의 주필 ││
│││ 로 활동으로 애국민족사상 고취. ││
│││☞ 동창학교, 일신학교, 배달학교 ││
│││에서 근무││
│││││
│││││
└──┴────────┴────────────────┴────────┘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