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 하면 조직개편…경기교육청 5년간 5번 손질
학교급→기능→현장중심…신설·통폐합 반복, 부서명칭도 헷갈려
(수원=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경기도교육청이 최근 5년간 5차례, 해마다 한두 번꼴로 행정조직을 개편해 뒷말이 무성하다.
조직개편 때마다 의도와 명분이 있다지만 잦은 부서 신설과 통폐합으로 교육 수요자들은 물론 내부 직원들조차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15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주민 직선 교육감 체제에서 경기교육행정조직의 개편은 김상곤 전 교육감이 재선되고 나서 2010년 9월 대대적으로 단행됐다.
종전 학교급별 중심의 부서(초등교육과·중등교육과·학교정책과)를 폐지하고 기능 중심의 부서(학교혁신과·교수학습지원과·교원역량혁신과·학생학부모지원과)를 신설한 것이다.
제2청사(현 북부청) 역시 기능 중심(교수학습지원과·교원능력개발과·과학직업교육과)으로 재편됐다.
2012년 5월에는 학기 중에 학교폭력전담기구로 학교인권지원단이 한시 설치됐다.
2013년 3월에도 6개 부서의 명칭이 바뀌고 3개 부서가 신설되는 등 큰 폭으로 이뤄졌다. 무상급식, 민주시민교육, 학생인권 등 교육감의 정책기조를 반영해 친환경급식과와 민주시민교육과 신설, 학교인권지원과 확대 개편이 시선을 끌었다.
그러나 이런 구조도 오래가지 못했다. 선거 기간 세월호 참사를 겪은 이재정 교육감은 취임하자마자 지난해 9월 북부청사에 안전지원국을 신설한 데 이어 오는 3월 1일자로 교육국 산하 조직을 전면 개편한다.
유아교육과 등 7개과가 신설되고 사학지원과 등 7개과가 통폐합되며 5개과는 명칭이 변경된다.
학생인권 정책의 상징이었던 학교인권지원과는 이미 안전지원국으로 학교폭력 기능이 이관된 후 이번 조직개편에서는 남은 업무가 3개 부서로 쪼개져 뿔뿔이 흩어지게 됐다. 부서 신설 2년 만에 인권상담·학교폭력·생활지도 기능이 분산되면서 조직 자체가 공중분해된 셈이다.
경기북부 8개 교육지원청을 관할하는 제2청사도 북부청사로 명칭 변경됐다가 북부청으로 다시 바뀐다.
북부 소외론을 해소하고 남부청과의 균형을 고려, 교육감의 핵심정책을 수행하는 마을교육공동체기획단을 설치하고 진로지원과·특성화교육과·문예교육과를 새로 갖춘다.
이런 잦은 조직개편으로 일부 직원은 6개월이나 1년 만에 짐을 싸 부서를 옮겨야 하고, 이 때문에 업무에 적응하지 못해 당분간 업무공백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공직사회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학부모나 교사들도 부서명칭이나 담당업무가 헷갈려 민원상담이나 업무협의에 혼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교육 재정난에 따른 인력 감축도 조직 운용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현장중심 행정 기조에 따라 남·북부 본청 인력의 10%인 77명을 감축하고 신설학교(2015년 52개교 167명 예상) 추가 소요인력을 확보하지 못했다.
현원 62명의 안전지원국이 과대조직으로 북부청의 정원을 잠식하고 다른 부서의 업무를 가중시키는 풍선효과를 주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이 교육감은 이와 관련해 "(조직개편을 둘러싼 논란은) 건설적인 의견일 뿐 잡음이 아니다.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내용을 담았기 때문일 것이다. 새 학기 개학과 신설 학교 개교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학생·현장 중심, 남·북부청 균형 등 조직개편 의미를 재차 강조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