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학에 빅데이터 분석과정 개설 미미
국내 개설률 6.6% 불과…미국 등 선진국과 격차 커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 요구가 커지고 있으나 국내 대학에 개설된 관련 교육과정이 턱없이 부족해 전문 인력 양성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12일 공개한 '빅데이터 시대에 대비한 분석 전문인력 양성 필요'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30개 주요 대학의 경영대학원에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애널리틱스(analytics) 수업 개설 비율은 6.6%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미국 주요 대학 경영대학원은 개설률이 56.6%에 달했으며, 영국도 30.8%로 한국을 크게 앞섰다.
최근 몇년 새 빅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기업들이 크게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대학들은 2012년을 기점으로 빅데이터 응용 학위 과정을 대학원을 중심으로 앞다퉈 개설하고 있다.
아울러 IBM 등 소프트웨어 기업들도 저변 확대를 위해 대학에 실습시설을 제공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는 등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빅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전문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인력 양성 기반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박필재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소비자 선호와 행동 분석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며 "관련 교육과정 개설과 연구시설 설립 등 정부와 대학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