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생 실무역량 평가제도 도입한다
중소·중견기업 채용연계형 산업인턴 지원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기업들이 공과대학 졸업생들을 채용할 때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역량을 갖췄는지 평가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화학분야를 시작으로 공대 졸업생의 실무역량을 평가하는 '공학실무역량 평가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한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지난해 사전 연구분석을 토대로 학사 인력 비중이 높고 인접 산업으로의 파급 효과가 큰 화학산업을 시범 도입분야로 선정했다.
올해는 산업계와 학계의 전문가가 참여해 공학 인재가 갖춰야 할 역량의 내용과 수준을 도출하고, 이를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내용·수준 등 기반을 마련해 시범 테스트를 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시범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구조와 출제방향 등을 개선하고, 산업계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 사용자 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2017년에는 공대생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 배포하고, 전국 단위 시범 테스트를 하는 등 화학분야에 대한 공학실무역량 평가제도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2018년 화학분야부터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다른 분야로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지금은 기업들이 공대생을 채용할 때 객관적인 평가 근거가 없어 출신 학교, 학점, 어학성적 등 이른바 '스펙' 위주로 선발하는 경향이 강하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 공학실무역량 평가제도가 도입되면 산업계의 요구와 괴리된 공대 교육을 개선하고, 학생들도 불필요한 스펙을 쌓느라 소모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공대생이 산업현장 경험을 통해 전공능력을 배양한 후 취업까지 할 수 있게 지원하는 '지역 중소·중견기업 채용연계형 산업인턴 지원' 사업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지역의 우수한 중소·중견기업이 진행하는 연구개발(R&D)에 6개월간 공대생이 직접 참여해 전공분야의 실무역량을 키울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대학별로 각 지역 테크노파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할 수 있다. 올해는 전국 6개 컨소시엄을 통해 총 300명의 인턴을 선발할 수 있게 지원한다.
인턴에게는 6개월 동안 월 120만원의 수당을 지원하고 학점도 부여한다..
13일부터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를 통해 사업자 참가 신청을 받는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