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건국기념일 맞아 개헌·호헌 세력 목소리 높여
"개헌 찬동확산 국민운동하자" 對 "헌법의 힘으로 아시아평화 추구"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11일 일본 건국기념의 날을 맞아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세력이 각각 도쿄 도내에서 집회를 개최, 세 확산을 꾀했다.
교도통신과 NHK에 의하면, 도쿄 시부야(澁谷)의 메이지진구(明治神宮) 회관에서 열린 건국기념의날 행사에 자리한 약 1천명(주최측 추산)의 참석자들은 "전후체제(패전 후 연합국 점령기에 형성된 평화헌법 체제)로부터의 탈피를 위한 헌법 개정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찬성하는 사람을 확대하는 국민운동을 추진할 것"이라는 내용의 결의를 채택했다.
이 행사는 신사(神社) 본청 등 보수·우익 단체들이 조직한 '일본의 건국을 축하하는 모임'이 주관했다.
반면, 도쿄 주오(中央)구에서 열린 건국기념의 날 반대 집회에 참석한 학자, 교사 등 약 400명은 호소문을 통해 "우리는 전쟁의 참화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평화주의 등을 명기한 헌법과 함께 걸어왔다"며 "역사를 직시하고, 헌법의 힘으로 평화로운 아시아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언자로 나선 요시다 유타카(吉田裕) 히도쓰바시(一橋)대 대학원 교수는 "전쟁을 경험한 세대가 줄어드는 가운데, 처참한 전쟁터의 현실에 대한 상상력을 기르고 생각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진보 성향 시민단체들은 도쿄 지요다(千代田)구에서 '아베 정권의 폭주와 국가주의'를 주제로 강연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나카니시 신타로(中西新太郞) 요코하마시립대 명예교수는 "호헌세력은 물론 탈원전, 오키나와(沖繩) 미군기지 문제 등을 논의하는 사람들에게까지 '반일'의 꼬리표를붙이고 있다"며 최근 여론의 우경화 현상에 우려를 표했다.
건국기념의 날로 지정된 2월11일은 원래 초대 일왕인 '진무 천황'의 즉위를 기념하는 축제일인 '기원절'이었다. 1872년 기념일로 지정된 이 날은 2차대전 후인 1948년 '일왕을 중심으로 단결해 미국에 맞서려는 것 아니냐'는 연합군최고사령부(GHQ)의 의심 속에 폐지됐다가 이후 자민당의 꾸준한 노력에 힘입어 1966년 현재 이름으로 부활했고 1967년부터 공휴일이 됐다.
건국기념의 날이 공휴일이 되는 과정에서 진보 정당과 단체 등은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 '제국주의의 논리가 담겨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했고, 지금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