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보고서 "탈레반, 범죄조직과 연계 강화"
(유엔 AFP=연합뉴스) 마약 거래상, 불법 광산 채굴단, 몸값을 노린 유괴범들…. 탈레반이 최근 들어 이 같은 범죄조직과 거래를 늘려가면서 아프가니스탄 새 정부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유엔 보고서가 9일(현지시간) 밝혔다.
유엔의 탈레반 전문가 위원회가 펴낸 이 보고서는 "탈레반이 차기 집권을 노리는 세력이 아니라 점차 영화 '대부'(조직폭력배)를 닮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탈레반과 마약 거래상 사이의 유대는 1990년부터 시작돼 새롭지 않지만 아프간 정부로 가야할 재정수입을 가로채려는 의도로 천연자원에 손을 대는 새로운 움직임이 있다고 이 보고서는 기술했다.
탈레반은 아프간 북동부 바다흐샨주에 있는 라피스 라줄리 광산을 장악, 탈레반 공격을 막아주는 대가로 해마다 광산주들로부터 100만 달러(약 11억원)가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채굴 광석을 운반하는 트럭 운전사들로부터도 1년에 24만 달러(약 2억6천만원)에서 36만 달러(약 3억9천만원)를 뜯어내고 있다. 이들 운전사는 타지키스탄인 거주지역으로 광석을 실어나르고 있다.
탈레반은 아프간 남동부 파티카주 크롬철광산에서도 수입의 3분의 2를 챙기고 카불 동쪽 자그달락 루비 광산에서는 해마다 1천600만 달러(174억8천만원)를 받아낸다.
지난 2005년 이후 탈레반이 인질을 잡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인질 몸값 또한 최소 1천600만 달러에 이른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탈레반과 범죄조직 간의 이 같은 협력의 규모와 정도는 예전에 못 보던 수준"이라며 "이들 사이의 수십년 교류를 기반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탈레반과 범죄조직 간 유대 강화로 아프간 내에서 화해를 진작시키기가 더 어려웠다고 주장했다. 평화를 정착시키는 데 필요한 경제적 유인책이 이제는 거의 먹혀들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어 유엔 안보리가 탈레반의 범죄 연계를 목표로 한 제재를 시작하길 권유했다.
보고서는 "탈레반의 범죄행위와 그에 대한 연결고리를 드러내고 저지하는 데 유엔안보리 제재 방식이 효과가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슈라프 가니 아프간 대통령은 부패와 탈레반 반군에 맞서 싸울 수 있는 정부를 구성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집권 4개월이 지난 지금 거국내각 구성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