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총리인준 정국 험난할듯…여야 극한대치 가능성도
![]() |
△ 문재인 대표 최고위 주재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신임 대표가 9일 국회에서 열린 취임 후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개회를 선언하고 있다. |
총리청문회 '전면전' 도화선되나…여야관계 중대기로
野 이완구 '부적격' 당론 유력…청문회서 정면충돌 불가피
포스트 총리인준 정국 험난할듯…여야 극한대치 가능성도
(서울=연합뉴스) 이승우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를 강성으로 분류되는 친노(친노무현)계가 다시 장악하면서 여야 관계가 일대 분기점에 서게 됐다
특히 친노계 수장인 문재인 신임 대표가 당선 일성으로 박근혜 정부와의 '조건부 전면전'을 선포함에 따라정국에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
문 대표의 첫 마디가 이처럼 강력한 대여 경고일 것이라는 점은 어느 정도 예견됐다.
지난 대선에서 박 대통령에 패했던 그가 당의 수장으로 복귀한다면 야권의 유력 차기 대선주자로서 내년 총선과 2017년 대선까지 내다보는 장기 포석에서 이전보다 더 선명하게 여권과 각을 세울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었기 때문이다.
문 대표는 수락연설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증세 없는 복지' 공약과 관련, 이와 배치되는 법인세 증세와 복지 확대를 요구했고, 박 대통령이 임기 내 논의조차 사실상 거부한 개헌에 대해서도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드러냈다.
문 대표를 위시한 친노 지도부가 화려한 컴백과 동시에 주요 현안마다 한껏 대립각을 세워놓은 만큼 언제든 여야가 정면으로 충돌할 수 있는 '인화 물질'이 이미 곳곳에 널린 상황이다.
무엇보다 이처럼 전선에 긴장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10~11일 열리게 되는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는 앞으로 여야 관계의 향배를 가를 첫 번째 고비가 될 전망이다.
새누리당의 새 원내 지도부인 '유승민호'에게는 '선명 야당'의 파상 공세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첫 시험대이고, 당의 얼굴을 바꾼 새정치연합 입장에서는 일성으로 예고했던 '전면전'의 첫 무대이기에 양쪽 모두 양보 없는 사투를 벌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새정치연합은 아직 당론을 정하지는 않았지만 이르면 9일 '부적격 당론'을 정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문 대표가 이 후보자의 부동산 투기, 병역 기피, '언론 통제' 의혹 등을 일일이 거론하며 사실상의 부적격 선언을 하자 당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이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언론의 자유를 짓밟는 반헌법적 인사"라며 청문회 전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야당이 이 후보자의 총리 인준을 공식 반대하고 나선다면 후속 부분개각과 청와대 개편 등 주요 정치 일정을 모두 이 후보자 인준 이후로 미뤄놓은 청와대로서는 또 한 번의 큰 위기를 맞게 된다.
특히 만에 하나 청문회 과정에서 이 후보자를 반대하는 야당의 논리가 여론에 먹혀든다면 실제 이 후보자가 사퇴 위기에 몰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정홍원 총리의 후임 후보자가 이미 두 차례나 낙마했던 전력을 지닌 박근혜 정부는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자가 야당의 반대 속에 가까스로 인준을 받는다고 해도 청문회 과정에서 드러난 상처로 '인사 효과'를 누리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야당이 반대 당론을 확정한다면 이 후보자의 청문회 통과 여부와 관계없이 여야 간 대치 전선은 더욱 가팔라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후에도 현 정국의 화두인 증세·복지 논란, 개헌 논의, 2월 임시국회 주요 법안 처리 문제, 선거구제 개편 문제를 놓고 여야가 사사건건 충돌하면서 현 정부 초반의 극한 대치 정국으로 돌아갈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많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