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EPA=연합뉴스) |
케리 "이란 핵협상, 타결 가능성 있어야 연장 가능"(종합)
이란 최고지도자 "이행 가능한 협상안에는 찬성"
(워싱턴=연합뉴스) 김세진 특파원 이재준 기자 = 현재 진행 중인 이란 핵협상에서 타결 가능성에 대한 윤곽이 드러나야 협상 시한을 연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밝혔다.
케리 장관은 8일(현지시간) 미국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현 시점에서 (이란 핵협상) 시한의 연장을 위한 유일한 기회는 합의를 위한 실질적인 윤곽이 드러난 경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 등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과 독일, 즉 'P5+1'은 지난해 이란과의 핵협상 타결 시한을 오는 7월 1일로 재연장하면서 오는 3월까지 정치적 합의를 도출하겠다는 일정을 제시했고 이란도 이에 동의한 바 있다.
케리 장관은 인터뷰에서 "앞으로 몇 주 동안 진행될 (협의) 과정에서 기본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하다면 (협상) 시한의 연장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 시점(3월 말 이후)이 되면 우리(P5+1)가 협상 시한의 재연장을 원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란 최고지도자인 아야톨라 하메네이는 이날 "나는 이행 가능한 협상안에는 찬성하지만 나쁜 협상안에는 찬동하지 않는다"며 "우리의 국익을 해치는 타협보다는 합의를 보지 않는 편이 낫다"고 말했다.
이란에서는 하메네이의 이번 발언은 이란 경제를 압박하는 제재를 종식하기 위한 하산 로하니 대통령의 온건 대미협상 정책을 폭넓게 승인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앞서 케리 장관과 만났던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뮌헨에서 한기자회견에서 "협상 시한의 재연장이 어느 한 쪽에만 이득이 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핵협상을 타결할 기회가 다신 오진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진행 중인 핵협상의 주요 쟁점은 이란이 '평화적 목적'의 우라늄 농축 권한을 가질지 여부, 그리고 미국의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수위 등이지만, 쉽사리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이란에 추가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 미국 보수세력과 '핵주권'을 포기하려 한다고 주장하는 이란 보수세력, 이란에서 핵무기 제조 가능성 자체를 아예 없애야 한다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주장이 맞물리면서 이란 핵협상이 성과를 낼지에 대한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