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일본 전쟁책임 부정하나…물타기 답변·동문서답>

편집부 / 2015-02-05 00:30:00
역사 인식에 관한 야당의원 질의에 우려 키우는 답변

<아베, 일본 전쟁책임 부정하나…물타기 답변·동문서답>

역사 인식에 관한 야당의원 질의에 우려 키우는 답변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전후 70년 담화 발표를 앞두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역사 인식에 대한 우려가 고조하는 가운데 아베 총리가 국회에서 일본의 전쟁 책임을 희석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아베 총리는 4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호소노 고시(細野豪志) 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전쟁에 관해 일본이 '국책(國策, 국가의 정책)을 그르쳤다'는 것을 인정하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이는 무라야마(村山)담화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일본이 전쟁을 일으킨 것이 잘못된 일이었다는 평가를 담고 있다.

아베 총리는 "패전의 결과 많은 목숨을 희생했고 국토가 초토화했으며 많은 분이 도탄(塗炭)의 괴로움을 겪은 것이 사실"이라며 "그런 결과에 이른 것에 관해 우리는 깊이 반성해야 한다. 당연히 그런 결과를 낳은 일본 정치 지도자에게는 큰 책임이 있다"며 이를 인정하는 것처럼 발언했다.

그러나 곧이어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각자의 판단이라는 것이 있다", "일본만이 아니라 세계를 부감(俯瞰, 높은 곳에서 내려다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상대성을 강조했다.

이에 호소노 의원이 '국책을 그르쳤다는 것을 인정하느냐 하지 않느냐'고 재차 질문하자 일본인이 목숨을 잃고 괴로움을 겪은 것에 관해 정치 지도자, 전쟁 지도자에게 큰 책임이 있다고 같은 답변을 반복하고서 단서를 달았다.

아베 총리는 "총력전을 포함해 정치의 책임이 있는 것, 또는 행정의 책임이 있는 것은 항상 냉정한 분석 위에 판단할 필요가 있는 것이 당연하다. 또 동시에 국제사회에서 절대 고립되면 안된다는 것도 원칙의 하나"라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는 책임을 인정한다면서도 전쟁에서 패배함으로써 일본인이 죽거나 고통받은 것을 이유로 들었기 때문에 일본이 타국에 준 피해, 혹은 승패와 관계없는 전쟁 자체에 대한 책임을 인정한 것과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또 국제사회가 인정한 일본의 전쟁 책임과 전후 질서를 그대로 인정하기보다는 따질 것은 따질 것이며 이 과정에서 국제 여론을 어느 정도 고려하겠다는 인상을 풍겼다.

아베 총리는 2013년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 당시 발언과 관련한 질문에는 대답을 회피해 역사 수정주의 노선을 택하고 있다는 의혹을 키웠다.

아베 총리가 당시 "전쟁 희생자의 영혼 앞에서" 부전의 맹세를 했다고 한 것에 착안해 호소노 의원이 전쟁 희생자에 전쟁 지도자가 포함되느냐고 물었으나 아베 총리는 "답할 생각이 없다"고 반응했다.

호소노 의원이 재차 질문하자 아베 총리는 야스쿠니 신사가 누가 좋고 누가 나쁜지 구별하지 않고 합사된 모든 이들의 명복을 빌고 있다고 언급하고서 자신은 "이런 어리석은 행위(전쟁)를 두 번 다시 반복하면 안 된다며 손을 모은 것(참배)"이라고 동문서답했다.

쓰지모토 기요미 민주당 의원은 이날 앞선 담화에 등장하는 "식민지배와 침략으로", "통절한 반성의 뜻", "마음으로부터 사죄" 등의 표현을 전후 70년 담화에 담을 것인지를 질문했다.

아베 총리는 "아베 정권으로서는 전후 50년 무라야마 담화, 전후 60년 고이즈미 담화를 포함해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로서 계승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승한다"는 답을 여러 차례 반복했을 뿐 명확하게 답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의 정례 브리핑에서는 아베 총리의 이날 답변이 A급 전범의 책임을 모호하게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등의 지적이 이어졌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