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9년 연속 결핵환자 전국 1위…왜 그럴까>

편집부 / 2015-02-04 15:19:48
"효과 좋은 주사형 예방접종 뒷전, 안이한 부산 보건행정도 한몫"
△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정명희 의원이 4일 부산시 건강체육국의 업무보고에서 결핵예방 접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부산 9년 연속 결핵환자 전국 1위…왜 그럴까>

"효과 좋은 주사형 예방접종 뒷전, 안이한 부산 보건행정도 한몫"



(부산=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부산에서 해마다 새로 발병하는 결핵환자 수가 다른 시·도에 비해 유독 많은 것은 무엇 때문일까?

이 의문에 대한 답의 하나로 결핵예방접종((BCG) 형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받았다.

약사 출신인 부산시의회 정명희 의원은 4일 열린 부산시 건강체육국 업무보고에서 "BCG 접종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접종 효과가 좋은 피내형(주사형) 접종률이 다른 시·도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다"고 지적했다.

그는 "흉터가 남는 주사형 접종을 기피하고 효과는 낮지만 미용을 고려한 경피형(도장형) 접종이 70% 이상 차지한 것이 결핵환자 수를 늘린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보건 당국은 접종형태와 결핵발생의 연관성 조사와 함께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주사형 접종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 부산 2005년부터 9년간 결핵발생 전국 1위

2005년부터 2013년까지 9년간 전국 7대 도시 연도별 결핵환자 수에서 부산은 9년 동안 연속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부산은 2005년 인구 10만 명당 결핵발생 환자 수가 86.9명(전국 평균 72.4명)으로 1위를 차지한 이래 2006년 96.5명( " 72.3명), 2007년 96.8명( " 70.6명)에 이어 2011년 95.5명( " 78.9명), 2012년 93.6명( " 78.5명), 2013년 79.3명( " 71.4명) 등 줄곧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 시기 가장 낮은 발병을 보인 대전을 보면 2005년 47.7명, 2006년 47.4명, 2007년 41.4명 등으로 부산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어 2011년 64명, 2012년 58.6명, 2013년 54.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BCG 예방접종 형태와 결핵발생 건수의 통계를 낼 수 있는 2011년 이후 수치를 보면 부산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7대 도시 주사형 접종 현황에서 4년 내내 꼴찌를 기록했다.

2011년에는 그해 태어난 부산지역 아동 2만6천295명 가운데 결핵예방 효과가 확실한 주사형 접종자는 14.6%(3천828명)에 불과했다.

그해 주사형 접종률이 가장 높은 대전(35.9%)에 비하면 21.3%포인트나 낮았다.

2012년 부산의 주사형 접종률은 16%(전국 평균 28.1%, 가장 높은 대전 36.1%)에 불과했고, 2013년에도 23.8%(전국 평균 38.1%, 대전 45.8%)로 7대 도시 가운데 가장 낮았다.

지난해에도 전국에서 가장 낮은 33.5%에 그친 반면에 인구 10만명 당 결핵환자 수가 가장 적었던 대전은 46.7%를 기록했다.

정 의원은 "접종 방법과 결핵 발생수 사이의 이 같은 의미 있는 수치가 부산의 결핵환자 수가 많은 이유를 전부는 설명할 수는 없지만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주사형 예방접종 받고 싶어도 하는 곳이 없어요"

그럼 부산이 유독 주사형 예방접종률이 낮은 이유는 뭘까?

의료계에서는 보건당국의 허술한 보건행정과 병·의원의 수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꼬집고 있다.

여기에다 부모들이 잘못 아는 결핵예방 상식이 한몫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접종 효과가 좋은 주사형 접종은 WHO와 함께 정부에서도 권장하는 방법이지만 실제 접종을 받기는 하늘의 별 따기 만큼이나 어렵다는 점이다.

부산 지역 16개 보건소는 매주 수요일 1주에 단 한 차례 주사형 BCG 접종을 하고 있다.

이것도 오전 9시부터 11시 30분 사이에만 한다. 그나마 최소 8명이 모여야 접종할 수 있다.

주사형 접종 투약 1통의 용량이 10명분이기 때문에 최소 8명이 모여야 접종해 줄 수 있다는 것이 부산보건 당국의 설명이다.

이렇다 보니 보건소에서 주사형 접종을 하고 싶어도 시간을 맞추지 못하거나 함께 주사를 맞을 아이들이 없어 어쩔 수 없이 인근 병·의원에 가서 7만∼10만원에 이르는 경피형(도장형) 접종을 받는 형편이다.

더구나 일선 보건소가 지정한 민간 위탁 병원의 상당수에서 아예 주사형 접종을 하지 않는다.

이는 병원의 수익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주사형 접종은 보건소에 무료로 해주지만 경피형은 병·의원에서 7만∼10만원을 받고 해주고 있다.

북구의 경우 67곳 위탁병원 가운데 단 1곳만, 동래구는 63곳 중 2곳, 남구는 45곳 가운데 1곳에서 주사형 접종을 하고 있을 뿐이다.

해운대구(58곳), 사상구(26곳), 수영구(20곳)는 주사형 접종을 하는 곳이 단 한 곳도 없다.

여기에다 부모들이 접종에 관해 잘못 아는 상식도 한몫하고 있다.

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비싼 돈을 주고 하는 경피형 접종이 더 좋을 것으로 잘못 아는 부모가 많다"며 "이는 보건당국이 예방접종에 관해 제대로 된 홍보를 하지 않은 까닭이다"고 지적했다.



◇ 보건소 접종 기회 늘리고 홍보 강화해야

주사형 접종을 늘리려면 보건소부터 접종 기회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주 1회, 8명이 모여야 접종이 이뤄지는 방식을 주 2∼3회로 늘리고 10명분인 약물 용량을 줄여 그때그때 오는 아이에게 접종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모들이 두 가지 예방접종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알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보건소 민간위탁병원은 WHO가 권장하는 주사형 접종을 하도록 보건당국에서 지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정명희 의원은 4일 업무보고 때 질의에서 "피부에 흉터가 남는 주사형 접종은 '돈없는 아이들이나 하는 접종이다'라는 잘못된 정보가 떠도는 것을 보고 홍보가 시급하다는 것을 느꼈다"며 "보건소는 민간 위탁병원이 국가의 예방접종 시책에 따르도록 지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