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보조금 지원 '총력'…친환경차 사볼까>

편집부 / 2015-02-04 12:00:19
하이브리드·전기차 등에 보조금·세제혜택


<정부 보조금 지원 '총력'…친환경차 사볼까>

하이브리드·전기차 등에 보조금·세제혜택



(세종=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정부가 올해부터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 등에 대한 구매 보조금 혜택을 강화하면서 친환경차 확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친환경차란 온실가스를 기준치 이하로 배출하는 자동차로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등을 일컫는다.







◇ 하이브리드차 구매 시 최대 410만원 지원 = 하이브리드차는 엔진(휘발유 등)과 모터(전기)로 움직인다.

이 중 1㎞를 달릴 때 97g 이하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차를 사면 보조금 100만원이 지급된다. 1월부터 시행 중이다.

자동차 신규 등록 시 내는 개별소비세와 취·등록세 등 최대 310만원의 세금 감경 혜택도 기존처럼 주어진다.

하이브리드 차량이면 무조건 보조금을 지원받는 것은 아니다.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통과한 LF쏘나타(현대차)·렉서스 CT200h·프리우스·프리우스Ⅴ(도요타)·퓨전(포드) 등 5종이다.

온실가스 배출 조건을 만족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추가로 출시되면 이 역시 보조금이 지급될 수 있다. 기아 K5 등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이들 차량이 올해 3만대가량 팔릴 것으로 보고 예산을 책정했다.

구매자가 자동차 등록사업소에 차량을 등록하면 세금이 감경되고, 한국환경공단에 보조금을 신청하면 한 달 안에 본인 통장으로 100만원이 입금된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도 있다. 하이브리드차에 전기차 기능을 합했다고 보면 된다. 전기동력 만으로 30∼50㎞를 달릴 수 있는 쏘나타가 곧 선보일 예정이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정부 지원 기준은 올해 만들어진다.







◇ 전기차 사면 최대 3천220만원 혜택 = 전기차는 동급의 내연 차량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비싸다. 그만큼 정부 지원도 많다는 의미다.

전기차 1대를 사면 정부 보조금 1천500만원, 지자체 보조금 300만∼700만원, 최대 420만원의 세금 감경, 개인 충전시설 설치비 600만원이 주어진다. 전체적으로 2천820만∼3천220만원이 지원되는 셈이다. 이번 달 중에 지원이 시작된다.

따라서 실제 차량 구매가격은 내연기관 차량과 거의 비슷하다.

연간 1만 5천㎞를 주행한다고 가정하면 전기차 운행비용은 56만원이다. ℓ당 유가를 1천426원으로 볼 때 동급 휘발유 차량 186만원의 30%에 불과하다.

환경부는 올해 3천대의 전기 승용차와 버스를 보급할 계획이다. 승용차종은 레이·쏘울(기아)·SM3(르노삼성)·스파크(한국GM)·i3(BMW)·리프(닛산) 등 6종이다.

이런 장점에도 충전 인프라가 열악하다는 게 문제다. 현재 전국에 공공급속충전시설은 232개다. 정부는 올해 100개의 공공급속충전시설을 추가 설치해 서울∼부산 왕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2020년까지 1천400기의 충전시설을 만들 계획이다.

당장은 사고 싶어도 못사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지자체에서 전기차 보급 공고가 뜨면 신청서를 접수해야 하고 신청자가 넘치면 공개추첨을 거쳐야 한다.







◇ 현대차가 가격 확 내린 수소연료전지차…일반인은 '아직' = 수소차는 수소연료가 공기 중 산소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생산해 그 동력으로 움직인다.

환경부는 올해 수소연료전지차 72대를 보급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연료 충전 등 인프라가 열악해 공공기관에 한정된다.

현대차는 지난 2일 투싼ix 수소차의 가격을 1억 5천만원에서 8천500만원으로 대폭 내렸다. 투싼ix 내연기관차를 3천만원으로 계산할 때 차이가 나는 가격 5천500만원을 정부와 지자체가 반반씩 나눠서 보전해준다.

일반인에게는 그림의 떡이지만 수소연료 충전인프라가 확충되면 향후 3∼4년 뒤에는 민간 부분에도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 정부 "2020년 친환경차 100만대…경제효과 7천억" = 정부는 2020년까지 친환경차 100만대(하이브리드 80만대·전기차 20만대)를 보급해 연간 친환경 신차 판매비율을 15%까지 올린다는 구상이다. 현재는 2∼3%에 불과하다.

이런 구상이 현실이 되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이 102만t 준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1천124억원 규모다. 석유소비량도 연간 4억 3천790만ℓ가량 줄어 온실가스 배출량과 합하면 7천87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