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한 발레파킹 문화정착을 위해 자율정비를 실시

심귀영 기자 / 2016-03-14 18:34:41
발레파킹 관련 업체 및 종사자들이 자율적으로 정비하도록 적극적인 홍보활동
△ 발레파킹 단속사진
[부자동네타임즈 심귀영 기자]강남구, 건전한 발레파킹 문화 만들어 간다!

발레파킹 업체 나날이 늘고 차량절도, 도난사건 등도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는 자율예방활동 추진


강남구(구청장 신연희)는 지난달 24일 청담동 주민센터에서 잘못된 대리주차의 관행을 개선하는 토론회를 갖고 불법적 발레파킹(Valet parking)에 대한 예방활동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구는 자동차 등록대수가 2000만대를 돌파했지만 현실적인 주차장 수가 부족해 업소방문객을 위한 대리주차 서비스 폐해가 늘어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팔을 걷어 붙였다.

대리주차인 발레파킹(valet parking)은 용산구 이태원동, 강남구 신사·청담동, 종로구 삼청동 등 서울 도심 곳곳에서 볼 수 있으며 날로 성행중인 이들 업소는 유명 식당가, 카페 등과 계약을 맺고 업소방문객의 차를 1000원에서 1만원의 요금을 받아 1시간에서 2시간 주차를 책임져 준다.



하지만 이들은 주차공간이 부족해 인도나 이면도로,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등에 불법 주·정차를 하여 통행불편을 주고 경쟁 대리주차 요원 간의 보복성 주·정차 단속신고로 행정력의 낭비를 일삼기도 한다.


이에 구는 지난달 24일 청담동 주민센터에서 서비스 요금 강요, 주택가 주차질서를 방해하는 등 발레파킹 문제에 대하여 전문 연구원, 발레파킹 업소·업체 대표, 주민대표 등 총 11명이 의견을 모았다.


그날 회의에서는 건전한 발레파킹 문화정착을 위해 자율정비를 실시하고 대리주차 서비스가 규제할 근거가 없어 법의 테두리 밖에 있는 것을 관련법 제정을 상위기관에 건의해 법의 사각지대를 없애자는 주민 의견과

방문전 발레파킹 가능여부 문의와 주차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으면 방문고객이 없어 30~50%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발레파킹 업소의 의견이 강조되었다.


구는 이를 반영해 올 상반기부터 야간에 업소 인근 건물의 빈 주차장을 확보하고 ▲ 불법 주·정차 하지 않기 ▲ 서비스 요금게시 하기 ▲ 요금 강요 안하기 ▲ 차를 가지고 오지 않는 고객 우대하기 ▲ 주차요원 유니폼과 명찰 착용하기 등

발레파킹 관련 업체 및 종사자들이 자율적으로 정비하도록 적극적인 홍보활동과 더불어 대리주차 운전자의 자격 요건과 위반 시 벌칙규정 등을 담은 관련 법령 제정을 국토교통부에 재차 건의하기로 했다.

한편, 강남구 발레파킹 업소현황을 보면 지난 2014년 292개, 2015년 328개, 2016년 478개소로 해마다 늘어가고 있고, 2014년부터 현재까지 단속건수만 6401건으로 감독 근거 법령이 없어 매번 위반과 단속이 반복되는 실정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