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장 감염 월별 진료인원(2010년~2014년) <자료출처=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부자동네타임즈 이영진 기자] 따뜻한 여름철보다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장염 환자가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장 감염 질환'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장염 진료인원은 2010년 약 398만명에서 2014년 약 483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85만명(21.2%) 증가했다.
진료인원이 늘어남에 따라 총진료비는 2010년 약 2676억원에서 2014년 약 3622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945억원(35.3%)이 늘어났다.
특히 ‘장 감염’ 진료인원을 월별로 보면 다른 계절에 비해 주로 추운 겨울에 진료인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12월 진료인원은 약 88만2000명(2014년 기준 11월 대비 72.1% 증가)으로 8월 57만3936명, 7월 55만9079명, 9월 52만5567명 보다 많았다.
또 증가한 인원 중 10대 미만 소아가 29만 143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10~19세 13만3587명, 20~29세 10만462명, 30~39세 10만3243명 등의 순이었다.
이는 장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인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가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도 생존기간이 길고 적은 양으로도 발병이 가능한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장 감염’은 세균성 장 감염과 바이러스성 장 감염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복통, 설사, 발열,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세균성 장 감염은 주로 대장균 감염으로 발생하며, 바이러스성 장 감염에는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감염 등이 있다.
진료인원이 많은 10세미만 소아에서의 장염 발생은 성인에 비해 설사 등으로 인한 탈수 진행이 빨라 위중한 상태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빠른 처치가 필요하다.
또한, 심한 장염으로 굶게 되는 경우 수분 섭취 부족으로 탈수가 일어날 수 있어 경구용 전해질 용액 및 수분을 섭취해 체내 수분과 영양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장 감염’의 예방법은 손 씻기 등의 기본적인 개인위생관리를 통해 감염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윤경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심사위원은 “장 감염 질환은 여름뿐만 아니라 겨울에도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소아의 경우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이나 음식 충분히 익혀먹기, 물 끓여 마시기, 손 씻기, 우유병 살균 등을 통한 예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