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정의화(왼쪽 세번째) 의장을 비롯한 여야 대표가 선거구 획정 논의를 위해 만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 김무성 대표, 정의화 국회의장,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 이병석 정개특위 위원장. <사진제공=포커스뉴스> |
[부자동네타임즈 박윤수 기자] 여야는 3일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 국회의원 정수를 300명으로 동결한 채 지역구 수를 늘리고 비례대표 수를 줄이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단 야당은 비례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보완 조건을 내세워 최종합의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정의화 국회의장 주선으로 이날 오전에 다시 만난 여야 당대표와 원내대표,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은 "9일 끝나는 정기국회 내에 선거구 획정을 마쳐야 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병석 정개특위 위원장은 이번 회동에서 자신의 중재안을 다시 설명했다.
이 위원장의 중재안은 지역구 의원수를 현재보다 14명 늘리고 비례대표 의원수를 54명에서 40명으로 줄이되, 비례대표 의원의 경우 정당득표율에 따라 확보 가능한 의석수의 과반을 보장하도록 지역구 당선자와 연동해서 뽑자는 안이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에게 "여야는 비례대표 수를 줄이고 지역구를 늘리는 쪽으로 인식을 같이했다"며 "이는 날로 어려워져가는 농어촌 지역구를 지켜나가는 쪽으로 인식을 같이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 원내대표는 "과거에는 새정치가 비례대표 한 석도 못줄이겠다고 했는데 이번에 상당히 진전된 것"이라며 "대신 여야는, 특히 새누리당은 비례성 확보 위한 제도적 보완책을 더 고민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도 "사표를 방지하고 비례성을 더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여당이 제공해준다면, 비례대표 수를 줄이는 방안을 여야 지도부에서 마련하자는데 어느 정도 의견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현재 새정치연합은 지역주의 해소를 위해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으나 새누리당은 의석 수 감소를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양당은 후속 논의를 위해 토요일인 5일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 그리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의원들이 다시 모여 선거구 획정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