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6일 판문점 통일각에서 김기웅(오른쪽)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과 황철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부장이 남북 당국회담 준비를 위한 실무접촉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통일부> |
[부자동네타임즈 박윤수 기자] 8‧25합의 핵심 사항이지만 지지부진했던 남북당국회담이 마침내 다음달 11일 북한 개성공단에서 열린다.
남북은 26일 낮 12시 50분 판문점 통일각에서 당국회담 실무접촉을 시작해 2번의 전체회의와 5차례의 수석대표 접촉을 진행, 26일 자정에 임박해서 이같이 합의했다.
이번 실무접촉이 12시간에 가까운 마라톤 회의가 된 것은 예상대로 '당국회담 의제'에 대한 이견 때문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북한이 5.24 조치 해제를 요구하지는 않았다고 확인했다.
통일부 정준희 대변인은 27일 오전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이번 합의 과정과 내용, 의미에 대해 설명했다.
핵심적인 합의사항은 ▲12월 11일 개성공업지구에서 제1차 남북당국회담 개최 ▲대표단은 차관급을 수석대표로 하여 각기 편리한 수의 인원들로 구성 ▲회담 의제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현안문제' 등 3가지다.
남북은 향후 판문점 연락사무소 통해 회담 개최를 위한 기타 실무적 문제를 협의하기로 했다.
정 대변인은 1차 남북당국회담 대표단 수석대표가 차관급으로 합의된 것에 대해 "우리 측은 이번 당국회담은 지난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의 후속회담 성격인 만큼 수석대표를 차관급으로 하자고 제의했고 북한도 부상급을 단장으로 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남북당국회담의 수석대표는 홍용표 통일부장관과 김양건 북한 통일전선부장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중론이었다.
우리 정부가 9월 21일부터 3차례에 걸쳐 홍용표 장관 명의로 김양건 부장에게 대화를 제의했다는 점이 강력한 근거였다.
그러나 정 대변인은 "그동안 정부가 장관급으로 요구한 적이 없다”며 “그것은 언론이 추론한 여러 가능성 중 하나였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정 대변인은 "우리 정부의 원칙은 '남북 간 현안을 협의할 수 있는 책임 있는 인사가 돼야 한다'는 점이었다고 이번에도 그 점을 분명하게 설명한 것"이라며 "어느 부서의 차관급인지에 대해서는 향후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통해서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북 당국회담 장소가 개성으로 결정된 이유에 대해 정 대변인은 "우리는 서울에서 개최하자고 제안했으나 북한은 왕래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개성, 금강산, 판문점을 제한했다"며 "여러 가지 상황을 감안해서 우선 1차 회담은 개성에서 개최하기로 합의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 26일 판문점 통일각에서 김기웅(오른쪽)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과 황철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부장이 남북 당국회담 준비를 위한 실무접촉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통일부> |
회담 의제와 관련해서 정 대변인은 "우리 측은 당국회담이 '남북관계 제반문제를 폭넓게 협의하는 채널인 만큼 의제도 포괄적으로 규정돼야 된다'는 입장을 제시했다"며 "북한은 당초 의제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자는 입장을 취했지만, 우리 쪽의 포괄적 입장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 대변인은 5.24조치 해제문제나 금강산관광 재개, 이산가족상봉 정례화 등이 다뤄지는 지에 대해서는 "당국회담이 개최되면 논의될 것이기 때문에 이 자리에서 답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도 정 대변인은 "(이번 실무접촉이 12시간 가까이 진행된 것은) 역시 의제 문제였다"고 보충 설명했다.
그는 또 "우리는 '포괄적으로 하자'였고 북한은 '좀 더 구체적으로 하자'라는 입장 차이 때문에 시간이 좀 오래 걸렸다"고 덧붙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