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탄소나노튜브 공장 전경
[부자동네타임즈 손권일 기자]LG화학은 여수공장에 연간 400톤 규모 탄소나노튜브 전용 공장을 구축, 본격적인 제품 양산에 돌입했다고 31일 밝혔다.
LG화학이 약 250억원을 투자한 탄소나노튜브 공장은 단일 라인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아울러 중국 에스유에스엔씨노텍(600톤), 미국 씨나노(500톤), 일본 쇼와덴코(500톤)에 이어 세계 4번째 양산 규모다.
LG화학은 올해 전지용 소재 등 공급 물량을 시작으로 판매 규모를 점차 늘려 내년 말까지 공장을 풀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시장의 지속 성장이 전망됨에 따라 2019년 추가 증설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탄소나노튜브는 전기 전도율은 구리, 열 전도율은 다이아몬드와 동일하며 강도는 철강의 100배에 달한다. 2차 전지부터 항공기 동체 소재까지 활용 영역이 폭넓어 꿈의 신소재라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최근에는 IT산업 및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리튬이온전지의 양극 도전재 등에 적용되는 등 수요가 급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LG화학은 기존 분말형태의 탄소나노튜브 제품 개발 이후 사용하기 편한 압축형태 제품을 최근 출시, 액체상태의 분산액 형태 등 다양한 제품을 통해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일단 이번 탄소나노튜브 라인 투자를 통해 기초소재 분야에서 추진 중인 고부가 프리미엄 제품으로의 사업구조 고도화 전략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는 게 LG화학 자체 평가다.
LG화학은 이 분야에서 ▲2011년 독자 기술 개발을 위한 R&D 돌입 ▲2013년 20톤 규모 파일럿 양산 라인 구축 ▲2014년 컴파운드 및 전지용 제품 개발 ▲2016년 자동차용 전도성 플라스틱, 경량 고강성 플라스틱 및 CNT-알루미늄 복합체 용도 개발 등 국내외 포함 약 250여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또 자체 개발한 세계 최대 규모 유동층 반응기를 통해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경쟁사 대비 각각 10% 이상 우수한 순도와 전도성 및 강도를 보유한 제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LG화학은 이 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북미, 유럽, 중국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는 방침이다.
손옥동 기초소재사업본부장은 "기존 범용 제품만으로는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없다"라며 "향후 탄소나노튜브를 비롯해 유망 신소재 발굴을 위한 R&D에 적극 투자해 차세대 소재 시장을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