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군 최형식 군수 인터뷰, 생태와 인문학으로 피어나는 '담양군'

손권일 기자 / 2017-07-08 11:29:32
- 민선 6기 3년, 다가올 미래성장 기반구축 -

 

[담양=부자동네타임즈 손권일 기자]

 

△전남 담양군 최형식 군수 인터뷰, 생태와 인문학으로 피어나는 '담양군'

 

담양군은 영산강의 발원지이며 대나무하면 담양이 떠오르는 천년의 역사가 숨쉬는 대나무의 고장이다.

 

담양군의 최고 브랜드는 '지속가능한 생태도시'다. 못담(潭), 볕양(陽)의 지명에서 보여주듯이 깨끗한 물과 햇볕이 풍부한 생태도시의 요건을 갖춘 지역으로서 '지속가능발전'을 군정의 핵심가치로 삼아 관광과 생태도시를 연계한 문화관광 융복합도시에 자연과 역사, 문화와 전통이 잘 보존된 장점을 실리는 담양다움의특성화 전략을 통해 오늘의 담양이 미래로 나아가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 토대 조성

 

담양군은 생태도시화 정책을 기반으로 한 생태환경 보전을 원칙으로 자연과 역사. 문화와 전통이 잘 보존된 장점을 살리는 '담양다움'의 특성화 전력을 통해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생태도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생태도시 정책추진 

 

 

 

○  생태도시 담양선언을 통한 담양의 미래비전 제시

· 생태도시 담양선언을 통한 생태도시 정책 이행 다짐 "2015. 10. 31.

· 생태도시 기이드라인 제정 및 운영 : 60건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구성 : 2016. 12. 30.

 

○ 2017 담양의 환경질 고시

· 기준시점 : 2016. 12. 31. 기준

· 고시분야 : 6개 분야(수질, 대기질, 토양, 폐기물, 상하도, 산림) 15개 지표

- 2016년 5개 부분 11개 지표

· 고시기간 : 5년간 (2012~ 2016)

· 고시방법 : 홈페이지 게재, 매년 6. 5. 정례적 고시 계획

 

○ 2030 담양군 생태도시 기본계획 수립

· 목 표 : 소득과 삶의 질을 제고하는 친환경 지속가능도시

· 시간적범위 : 2017~2030  * 2017. 12. 기본계획 승인 고시예정 

전국 최초 인문학 교육특구 지정

 

가사문학을 꽃 치원ㅆ던 담양은 전국 최초로 지난해 '인문학 교육특구'로 지정됨으로서 인문학으로 미래 천년을 디자인 할 수 있는기반을 다지고 있다.

 

 

 

교 육

  미래에 대한 투자  - 인문교육도시 담양

 

 

■ 지속가능한 담양 성장의 원동력 교육에서 찾다

 

○ 담양 인문학 교육특구 선정

  · 제36차 지역특구위원회 특구 지정(중소기업청) : 2016. 3. 18.

  · 담양 인문학 교육특구 선포 : 2016. 4. 21.

  · 인문학교육특구 운영 조례 제정 : 2017. 4. 18.

  · 천년담양, 인문학으로 디자인하다' 특화사업추진  : 6개 분야 197백만원

  · 담양군-부산 동래구 교육특구 협력 업무협약 : 2017. 5. 11.

 

○ 생명존중의 담양 공교육 강화를 통한 미래인재 육성

  · 학교별 교육환경개선사업 지원 : 26개소, 7,985백만원

  - 학력향상, 창의 문화, 특기정성, 글로벌 인재양성 등

  · 지역 인재육성을 위한 장학금 지급 : 304명 395백만원

  · 농촌지역 다중지능 교육활동 선정 및 추진 : 4개 분야, 632백만원

 

성과) · 2015 수능성적 평가 : 표주점수 평균 전국 10위원 진입

· 중학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우수)

- 기초학력 미달 2010년 7.4%  → 2016년 1.18%  6.22%  감소

- 보통학력 이상 2010년 53.2%  → 2016년 75.5%  22.3% 증가

 

 

 

 

○ 인문학을 토대로 한 평생학습 기반 확충

  · 평생학습도시 · 행복학습센터 교육사업 : 24개 분야 454백만원

  · 21C 담양포럼 및 인문학 아카데미 : 16회, 5,763명

  · 담양 인문학 문해교실 운영 " 38개소 380명

  · 대피리고을 문화콘텐츠 사업 추진 : 3개 분야 500백만원

  - 대나무악기 오케스트라, 대나무악기 연주자 양성 등

 

○ 다양성을 존중하는 인문교육도시 기반 조성

  · 민간위탁형 공립 대안학교 설립(예정) - 70억원 : 2019. 3.

  - 전라남도교육청 상호헙양 체결

 

  · 첨단문화복합단지 내 국제학교 설립(예정)

  - 페이스튼 국제학교 투자협약 체결(36학급 576명) : 2017. 6. 27.

 

한국관광 100선 선정 '죽녹원'을 인프라로 관광도시 시대 실현

 

생태도시 정책을 기반으로 한 담양다움의 특성화 전략을 역점적으로 추진한 결과 '담양'이라는 지역브랜드 가치가 향상되었으며 700만 관광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담양 대나무축제는 전남관광 대상에 이어 2017년도 문화체육관광부 '최우수축제'에 선정되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축제로 인정받았으며 전국 최대 음식축제인 '남도음식문화큰잔치' 추진을 통한 음식문화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는 계기가 되었다.

 

 

관 광

담 양 다 움  특 성 화 로 이 뤄 낸 7 0 0 만 관 광 도 시

 

 

○ 700만 관광도시 실현 : 2016년 관광객 7200여 만명 * 2015년 725여 만명

 

○ 담양 대나무축제 문화관광 최우수축제 선정(2017년)

  · 방 문 객 : 498천명('15년 286, '16년 486)

  · 대나무 부스 설치, 대나무의 환경적 기치를 강조한 프로그램 운영 등

 

○ 생태관광도시 정책 추진에 따른 성과

  · 2015「베스트 그 곳」, 한국관광 100선 '죽녹원; 선정

  · 2015 지역관광발전지수 전국 '최우수' 수상 : 2016. 1.

· 남도음식문화큰잔치 개최('14~'16) : 718천명 방문('14년 299, '15년 250, '16 169)

  - '전라남도 대표 미향 = 담양' 이미지 구축

  · 2016한국관광대상 지자체 부문 '대상' 수상 : 2016. 10.

  · SNS 빅데이터 분석 전남도 우수관광지 입증 : 인기명소 1위 '죽녹원' 등

 

담양식 '창조농정' 추진으로 농업경쟁력 강화

 

농자천하지대본이라는 말에서 의미하듯 농업은 천하의 근본이며 수 많은 상업을 파생할 수 있는 기본 산업이다.

 

따라서 농업을 근간으로 하는 6차 산업화로 소득의 대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아울러 신품종 육성과 품질의 고급화로 농업인들의 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전남 담양군 최형식 군수 인터뷰, 생태와 인문학으로 피어나는 '담양군'

 

 

 

  농 업

  담양식 창조농정 실천으로 생태농업 실현

 

 

○「대숲맑은 담양」브랜드 가치 향상

· 대숲맑은 담양 쌀

- 대숲맑은 담양 쌀 2016 대한민국 명품쌀 평가 대상 수상

- 전남 10대 고품질 브랜드쌀 선정 : 7연속('11~'17)

- 전국 12대 고품질 브랜드 쌀 선정 : 2년('13~'14)

·「대숲맑은 담양 딸기」: 대한민국 농식품 파워브랜드 대전 3위 선정

· 담양 농산물 해외시장 개척 : 158톤/딸기, 미니토마토, 멜론

- 주요 수출국 : 홍콩, 일본, 싱가폴, 태국

 

담양지명 '천년기념사업' 추진

 

2018년 담양지명 '천년기념사업'은 담양군의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므로써 지역의 미래가 꽃필 것이다.

 

천년기념사업은 담양의 신 르네상스 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

 

 

  천년기념

'담양다움'을 담은 미래비전 제시

 

 

○「지명천년 기념」우선 추진사업 확정(30개)

· 지명천년 기념 상징조형물 설치, 담양 미래유산 100선 선정 등

 

○ 기념사업을 통한 주민화합 도모

  ·「천년의 약속, 미래천년 메시지 보내기」디자인 개발

  - 엽서, 편지지, 포스터, 천년 우체통 등(8월초 용역 완료)

  · 미래천년 담양선언문 작성 : 실무협의회 개최 및 초안작성

  · 지명천년 기념 슬로건 및 천년기 디자인개발

- 천년 기념 슬로건

  ① 천년담양 생태와 인문학으로 디자인하다

  ② 천년담양 자연이 사람을 품다

  ③ 생태와 인문학으로 피어나는 담양

 

○ 기념사업을 통한 미래먹거리 육성

  · 장학사업 확대를 통한 인재육성

- 미래천년 장학금 운영규정 제정(2017. 3.), 장학기금 확대 시행

  · 천년경관 숲 조성으로 자연문화자산 확충

- 녹색네트워크 가로수 조성 : 5개소, 10.7km

- 천년 생태숲 조성 : 4개소, 13,721㎥(전통마을, 명상학교, 복합 산림경관)

 

다가올 미래성장 기반 준비

 

담양의 지도를 바꾸는 대형 현안사업인 일반산업단지와 메타프로방스, 첨단문화복합단지 조성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여 인구 7만의 자립형 생태도시 기반을 구축하는 동력으로 삼겠다.

 

또한 투자유치와 더불어 기존 사업들의 조기 마무리와 가시화로 '소득 3만 불, 인구 7만의 자립형 생태도시'의 경제기반구축에 더욱 매진하여 군민의 풍요로운 삶의 여건 조성과 다가올 미래성장 기반을 준비해 나갈 것이다.

 

 

 

 

 민선 6기 3년 성과

 

 

 




























































​■ 담양 최고의 브랜드 -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정책 추진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생태도시 담양선언

- 2030 군 생태도시 기본계획 수립

- 친환경지속가능도시 조성사업 선정, 글로벌 에코포럼 운영

- 생태도시 정책 가이드라인 제정,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구성·운영

 

2015 담양세계대나무박람회 성공개최

 

  - 관람객 104만여 명(박람회 수익금 48억원) - 제10차 WBC 총회 개최

  - 대나무를 주제로 한 군단위 최초 국제박람회

  - 대나무의 가치 재조명으로 담양브랜드 가치 향상

 

내륙권 관광도시 발돋움 - 2년 연속 700만 관광객 유치

 

- 담양대나무축제 문화관광 최우수축제 선정(2017)

- 남도음식문화큰진치 개최(21~23회) : 718천명

- 2016한국관광대상 '대상', 한국관광 100선 선정, 2015지역관광발전지수 '최우수'

 

국도비 확보를 위한 공모·평가사업비 230건 1,387억원 사업비 확보

- 무등산권지질공원 통합 지질관광 활성화 및 세계화. 남도청년 장돌뱅이 등

 

대숲맑은 담양 농특산물 브랜드가치 제고

  - 대숲맑은 담양 쌀 2016 대한민국 명품쌀 경가 '대상'

  - 전국 12대 브랜드쌀(2년 연속 선정 : '13년~'14년)

  - 전남 10대 브랜드쌀(7년 연속 선정 : '11년~'17년)

  - 신품종 딸기품종 보호 등록(담향, 죽향) 및 담양3호 품종출원

  - 대한민국 농식품 파워브랜드 대전 '대숲맑은 담양딸기' 3위

 

담양식 창조농정으로 담양 농업경쟁력 강화

  - 담양군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육성 발전계획 수립 : 2015. 3.

  - 친환경농업 5개년 계획수립(3차) : 2015. 5.

 

농촌 체험관광기반 확충으로 농외소득 창출기반 확보

  - 행복마을콘테스트 대통령상 수상 : 대덕 무월마을

  - 농촌휴양마을 으뜸촌 선정 : 대덕 무월, 창평 삼지내

  - 농촌체험관광지역 네트워크 구축 : 19개소

 

 

 ​민선6기 3년 성과

 

 

메타세콰이아 가로수길 국가산림문화자산 지정

  - '15. 8. 21일(국가), '15. 4월(전남) 산림문화자산 지정

  담양 대나무밭 세계농업유산 등재 준비

  - 국가농업유산 제4호('14.6) 지정에 따른 한·중·일 워크숍 개최 외

 

인문학을 통한 평생학습도시 기반 확충

  - 인문학 교육특구 지정('16. 3.) 및 인문학 교육특구 선포식('16 4.)

  - 2015 평생학습도시 선정

  - '천년 담양, 인문학으로 디자인하다' 인문학 특화사업 추진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장학기금 79억원 조성 : 304명 395백만원 지급

 

채무 제로화, 세수 증대로 스마트한 재정운영

  - 지방채무 78억원 완전상환으로 채무 제로화(2016년)

  - 체계적인 과세 자료 정비 및 은닉세원 발굴로 지방세수 증대

 

풀뿌리 경제 육성을 통한 발전역량 강화

  - 풀뿌리 기업 발굴육성 확대 : 61개소 - 마을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

  - 지역상권과 전통시장 활성화, 서민생활 안정 대책

  - 기반시설 제공을 통한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재)담양문화재단 설립 및 문화예술사업 추진 → 담빛예술창고

  - 남송창고 문화재생사업 추진 → 담빛예술창고

  - 담빛예술창고 운영 및 우수작가 초청 상시 기획 전시

  - 지역문화를 소재로 한 창작장품 공연 - 음악극, 뮤지컬, 가사창작곡

 

공무원 창조적 마인드 및 소통 강화

  - 간부공무원 혁신교육, 정책개발 워크숍, 조직활성화 교육

  - 군정 현안업무 간부회의 3.0토론회(63회)

  - 후생복지 강화로 일하는 분위기 조성 - 해외연수, 동아리 활동 지원 등

 

내실 있는 천년 기념사업을 통해 미래비전 제시

  - 지명 천년 기념 우선사업 선정(30개)

  - 천년 역사재조명, 미래천년 담양선언문 작성, 천년기 디자인 개발 등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