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 남구 대촌천 수계에서 반딧불이 개체수 발견 |
지난 2012년 부터 이 일대에서 수생태 문화를 복원하고, 샛강과 관련한 스토리텔링 사업을 줄기차게 벌여온 남구의 샛강 살리기 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는 방증이기도 하다.
18일 광주시 남구(구청장 최영호)에 따르면 대촌청 수계에서 반딧불이 대량 서식지가 발견된 것은 9월 초순께다.
대촌천 수계 샛강 지킴이 회원 5명은 지난 9월 6일과 13일 양일에 걸쳐 이 일대에서 반딧불이 서식지 조사를 벌였고, 포충사 앞 포충사~칠석보~지석교에 이르는 약 3㎞ 구간에서 반딧불이 개체수 약 100여 개를 발견했다.
특히 지난 9월 6일 칠석보 주변에서는 오후 7시에서 8시 사이에 반딧불 성충 50여 개가 대량 목격되기도 했다.
201년 샛강 살리기 사업 진행 후 대촌천 수계에서 반딧불이가 처음 발견된 것은 지난해 9월 덕남도랑 인근에서다.
샛강 살리기 회원들은 2014년 9월 초순에 덕남 도랑 수생태학습장 주변에서 반딧불이 개체수 6개를 발견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남구는 반딧불이 개체수가 집중 발견된 이 지역을 반딧불이 서식처로 지정해 특별 보존할 계획이며, 내년에는 더 많은 개체수가 발견된 것으로 전망된다.
남구 관계자는 "대촌천 수계에서 발견된 반딧불이 성충의 개체수는 100여 개 수준이지만 이들 성충이 짝짓기를 해서 하천과 농수로 등에 산란을 하고 죽는다. 깨끗하고 청정한 도랑과 하천 환경에서는 더 많은 유충들이 살고 있어 도시 근교 하천인 대촌천에는 내년도에 더 많은 반딧불이가 발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반딧불이의 수명은 15일 가량으로 짝짓기 후 4~5일 후에 알을낳고 자연적으로 죽는 것으로 알려졌다.
![]() |
△ 지난 해 9월 덕남도랑에서 발견된 반딧불이 |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