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업무보고 쌀값 안정 위해 벼 재배면적 3.5만㏊ 감축키로

박윤수 기자 / 2017-01-06 10:40:02

2016년산 공공비축 건조벼 수매가 진행된 14일 오전 경기 광주 퇴촌면 공설운동장에서 관계자들이 벼 포대를 옮기고 있다. 광주시는 올해 9,417포(포/벼 40kg)가 수매됐으며 2015년도 매입량 8,176포에 비해 1,241포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6.11.14

 

[부자동네타임즈 박윤수 기자]정부가 해마다 되풀이되는 쌀값 문제의 해결을 위해 올해 3만5000㏊에 달하는 벼 재배 면적을 감축키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2017년도 업무계획 보고에서 쌀 수급안정을 위해 적정량 생산을 조절할 수 밖에 없다고 보고 벼 생산 면적을 3만5000㏊ 감축키로 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벼 재배면적은 77만8734㏊로 전년도 79만9344㏊보다 2만610㏊(2.6%)가 감소했다. 올해 벼 재배면적 감축 목표를 지난해 대비 69.8% 늘려 잡은 것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사료용 쌀을 470만톤까지 늘리고 복지용·가공용 쌀 공급도 확대하는 등 쌀 재고관리와 쌀 가공산업 활성화 등 신규 수요 확대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토대로 오는 2월 중장기 쌀 수급안정을 위한 대책을 발표키로 했다.
사상 최대의 피해를 낳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와 관련해선 조기종식을 위해 총력 대응하고 계란 가공품 수입 확대 등 가금류 수급 안정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가축질병 재발방지를 위한 중장기 대책인 '가축질병 방역 개선대책'을 오는 4월까지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청탁금지법 시행에 따른 농식품 분야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화훼·외식·한우 등 유통 개선 및 소비 홍보 강화, 품목별 농축산물 소비 촉진 대책을 1월중 마련키로 했다.


유통전문점 꽃 판매코너를 200개 설치하고 소포장 등 수요맞춤형 상품 개발, 온·오프라인 직거래 확대 등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을 통한 스마트팜을 확산시키기 위해 올해 스마트팜 온실 4000㏊, 스마트팜 축사 730호로 늘리고, 스마트팜 단지 20㏊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농업의 6차산업화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창업부터 판로까지 지원을 체계화해 올해 640개소의 6차산업 창업을 추진하고, 농촌의 자연·문화·전통 등을 관광자원화해 외국인 20만명, 내국인 110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올해부터 수입보장보험 품목을 6개로 확대하고 밭고정직불금 단가도 ㏊당 40만원에서 45만원으로 인상된다.


농식품 분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년·벤처창업 기회 확대, ICT 등 품목특화 전문교육 강화, 2030세대 농지 임대 지원도 확대키로 했다.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은 "AI를 비롯한 가축질병이 연례 행사처럼 발생되고 있는데 조기 종식도 중요하지만 재발방지가 더 중요하다는 판단"이라며 "초동대응시스템, 매뉴얼, 지원체계 등 전반적인 부분을 손봐야 한다. 농가의 방역의무도 철저히 해 지속 발생 농가에 대한 3진 아웃제 도입 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