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 김민석 기자]추석을 한 달여 앞두고 요동치는 밥상 물가에 정부도 소비자도 고민이 깊다.
9월 물가가 다소 하락할 것이란 조심스런 전망 속 국제유가의 변동과 기후 불안이 상존하는 탓에 안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밥상 물가를 잡기 위해 추석 전 비축물량을 풀기로 했다. 이 달중 '추석 민생안정대책'도 내놓는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6% 상승했다. 2012년 4월 2.6% 이후 5년 4개월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는 3.7% 뛰며 2011년 12월(4.4%) 이후 5년8개월만 최고치를 기록했다.
물가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채소류를 중심으로 한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다. 1년 전보다 12.2% 올라 전체 물가를 0.96%포인트 밀어올렸다.
채소류가 1년 전보다 22.5%나 올랐고, 수산물과 축산물도 각각 8.6%, 6.0%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무와 오징어 값이 각각 71.4%, 53.1% 폭등했다. 토마토와 포도도 45.3%, 31.6% 올랐다.
조류 인플루엔자(AI) 여파로 지난해 말부터 고공행진을 보이던 계란 값은 53.3% 올랐다. 다만 지난달 중순 살충제 계란 사태가 터지면서 수요가 급감해 상승 폭은 전월(64.8)보다는 축소됐다.
돼지고기 값도 12.1%나 올랐다. 전월(8.5%)보다 상승 폭이 더 커졌는데, 살충제 계란 여파가 닭고기로 확산하면서 돼지고기를 찾는 수요가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올해 초부터 조정기를 거치며 상승세가 주춤하던 석유류도 3.6% 올랐다. 석유류 가격 상승 탓에 공업제품 물가는 1.0% 올라 전체 물가를 0.31%포인트 끌어올렸다.
전기·수도·가스는 8.0% 올라 전체 물가를 0.29%포인트 상승 견인했다.
물가지수 산정시 차지하는 비중이 제일 높은 서비스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은 1.8% 상승했지만, 전체 물가를 1.04%포인트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정부는 밥상 물가가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선선한 기온과 일조시간 증가 등 기상 여건이 평년 수준으로 안정화돼 채소류를 비롯한 농산물의 생육이 개선되고 있어서다.
특히 이번 추석(10월4일)은 평년보다 다소 늦은 10월 초여서 추석 전 생육 회복이 거의 이뤄져 농산물 수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봤다.
하지만 태풍 등과 같은 돌발 변수가 있는데다 현재 높은 수준의 물가가 소비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이 "날씨 변수가 없다면 9월 물가는 하락할 수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농식품의 변동성이 커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을 정도다.
때문에 정부는 농축산물의 수급 안정과 소비 촉진을 위해 비축 물량을 풀기로 했다.
배추 1만9000t(생산안정제 1만5000t, 수매비축 2000t, 출하조절시설 2000t)과 무 5000t(생산·출하안정제 4000t, 수매비축 1000t)을 도·소매시장에 탄력적으로 공급한다. 특히 배추는 하루 300t씩 지속적으로 푼다.
양파·감자와 돼지고기의 경우 정부 출하조절 물량 외에 농협과 민간저장업체의 저장물량 출하를 독려하기로 했다.
추석 전 3주(9월11일~10월2일)동안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을 운영해 주요 성수품의 수급과 가격 동향을 점검하고, 추석에 수요가 많은 배추·무·사과·배·소고기·돼지고기·닭고기·계란 등 10개 중점관리 품목의 공급을 늘릴 계획이다.
정부는 또 이달중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내놔 밥상 물가를 잡는다는 복안이다.
이주현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생활 물가의 조기 안정을 위해 일시 가격 강세를 보이는 채소류 중심으로 출하조절과 생육관리 등 적극 대응하고 있다"면서 "추석을 대비해 가격 불안 품목에 대한 특별수급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