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대북 압박 강화 한미일 합의에 반대 표명
"비건설적이며 긍정적 결과 없을 것"…6자회담 재개 촉구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러시아가 한국·미국·일본 3국이 합의한 대북 압박 및 제재 강화 방침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일본 도쿄에서 28일(현지시간) 열린 동북아시아협력대화(NEACD)에 참석한 러시아의 북핵 6자회담 차석대표 그리고리 로그비노프 특임대사는 자국 리아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에 대한) 압력과 압박 강화 발언은 비건설적이며 어떤 긍정적 결과도 가져다주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NEACD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산하 국제 분쟁 및 협력연구소(IGCC)가 북한을 포함한 6자회담 참가국의 외교·국방 관료와 학자들을 초청해 매년 개최하는 다자간 안보 대화체로 로그비노프 특임대사는 러시아 측 대표로 참석했다.
한국, 미국, 일본 3국 6자회담 수석대표들은 그 전날 서울에서 회동해 북한의 추가 도발 억제와 비핵화 진전을 위해 대북 압박과 제재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로그비노프 대사는 "모든 당사국의 실질적 우려를 고려해야 하며 이는 단지 선언 형식이 아니라 정치·군사적 긴장 해소를 위한 구체적 행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면서 현재 적극적 군사활동은 북한뿐 아니라 모든 당사국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미 연합군사훈련과 한미일 군사동맹 강화,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논의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협상의) 진전은 상호적인 것이어야 하며 어느 한 쪽의 일방적 양보를 요구해선 안된다"고 대북 압박 정책을 거듭 비판했다.
로그비노프 대사는 이어 러시아는 북핵 6자회담 재개와 중국의 의장국 지위를 지지하며 동북아 지역 안보 보장을 위해 이를 대체할 만한 다른 협상 틀은 현재로선 없다며 회담 재개를 촉구했다.
로그비노프 대사는 이날 같은 인터뷰에서 "북한은 한반도 핵문제 논의를 위한 6자회담의 뗄 수 있는 한 참여자"라면서 "북한의 등 뒤에서 이루어지는 어떤 담합도 있을 수 없으며 러시아는 절대 이를 용납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는 그동안 북한의 핵무장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북한에 대한 압박이나 추가 재재보다 대화를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주장해 왔다.
로그비노프 대사의 이날 발언도 한미일이 합의한 북한에 대한 압박 정책 강화 방침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6자회담 재개 노력 등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는 기존 러시아의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분석된다.
러시아는 최근 들어 중국과 관계가 소원해진 북한을 적극적으로 포용하며 양국 간 협력 관계를 빠르게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