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화해·치유재단' 출범…반대집회 등 '진통'
화해·치유재단 첫 이사회와 현판식 갖고 공식 출범<br />
정대협·대학생, 반대 기자회견과 농성으로 '반대' 목소리 높여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7-28 13:31:23
△ 화해 ·치유재단 공식 출범
(서울=포커스뉴스) 한국과 일본의 위안부 합의에 따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화해·치유재단)'이 일부 시민사회단체의 반대 속에 공식 출범했다.
외교부와 여성가족부 등에 따르면 화해·치유재단은 28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순화동 바비엥3 빌딩 5층 사무실에서 첫 이사회를 열고 재단의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오전 11시에는 김태현 이사장과 윤병세 외교부 장관,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화해·치유재단 현판식을 가졌다.
화해·치유재단은 지난해 12월 한·일 양국 정부의 합의에 따라 설립된 여가부 등록 비영리법인으로, 일본 정부가 정부 예산으로 출연하는 10억엔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지원하게 된다.
그러나 이날 행사에는 한·일 위안부 합의에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여 화해·치유재단 출범을 규탄하면서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좋은대한민국만들기 대학생운동본부는 이날 오전 9시30분 바비엥3 건물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자 동의 없이 밀어붙이는 재단 설립은 굴욕적인 한일 위안부 합의를 공식 인정하는 것"이라며 "할머니들에게는 더할 수 없는 정치적 폭력행위"라고 규정했다.
또 오전 10시에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기자회견을 통해 "피해자들의 권리를 한낱 돈의 문제로 전락시키고 살아있는 역사를 봉인하는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를, 화해·치유재단을 정의와 인권의 이름으로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대립 속에 오전 11시 바비엥2 빌딩 지하에서 진행된 김태현 이사장의 '재단 운영 방안 설명 기자간담회'에는 화해·치유재단 출범을 반대하는 대학생 20여명이 무대를 점거해 농성하는 일도 벌어졌다.
이들은 "한일합의 폐기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30여분 동안 농성을 벌였고, 결국 경찰에 강제 연행됐다.(서울=포커스뉴스) 위안부 지원 재단인 화해 ·치유재단이 공식 출범하는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바비엥 스위트에서 김태현 이사장,(오른쪽 세 번째) 윤병세(왼쪽 두 번째) 외교부 장관,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을 비롯한 위원들이 현판 제막식을 하고 있다. 2016.07.28 이승배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