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공항 1달러 팁 요구 '여전'…외교부 "현지 관례 탓"

막무가내 '코리안팁' 요구에 속수무책 당해<br />
대사관측 '대처요령' 공지 불구 해결 안 돼<br />
"선제적 예방 조치와 적극적 문제제기 필요"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7-26 11:45:17

(서울=포커스뉴스) "캄보디아 씨엠립 공항 입국 심사대 직원이 저에게 팁으로 1달러를 요구했어요. 입국 심사에서 팁을 주는 게 어색해 돈을 주지 않았더니, 그 직원이 저를 대기줄 뒤로 보내 버렸습니다."

지난달 23일부터 5일 동안 캄보디아를 다녀온 김모(30)씨는 이른바 '코리안 팁' 때문에 크게 낭패를 봤다며 이같이 말했다.

코리안 팁은 캄보디아 씨엠립 공항 직원들이 한국인에게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1달러를 요구하는 관행이다.

캄보디아를 방문한 한국인 여행객은 입국 심사 등을 빨리 받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코리안 팁을 따를 수밖에 없다.

김씨는 "1달러가 큰돈은 아니지만, 팁을 주지 않았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준다는 사실에 정말 화가 났다"며 "한국인을 무슨 '호갱'(어수룩해 이용하기 좋은 손님)으로 생각하는 것 같아 불쾌하기까지 했다"고 말했다.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캄보디아를 다녀온 박모(27·여)씨도 씨엠립 공항에서 당한 코리안 팁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박씨 역시 1달러의 팁을 주지 않았다가 같은 비행기 승객 중 가장 마지막으로 입국 심사를 받는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그는 "1달러의 팁을 준 다른 이들부터 우선적으로 입국 심사를 해줬다"며 "괘씸해서 입국 심사가 늦어지더라도 돈을 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캄보디아를 방문한 한국인 여행객들은 씨엠립 공항에서 직원들이 막무가내로 요구하는 '코리안 팁'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코리안 팁을 따르자니 괘씸하고 따르지 않자니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게 씨엠립 공항에 입국한 한국인 여행객의 상황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지난 2014년 '캄보디아 공항에서의 웃돈요구 대처 및 신고요령'을 내놓기도 했지만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웃돈 요구를 받았을 경우 화가 나더라도 참고 차분하게 왜 지불해야 하는지 이유를 문의할 것과 뚜렷한 이유가 없으면 공관에 '불편 신고서'를 이메일로 접수하도록 안내한 것이 대처법의 전부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 역시 대사관이 내놓은 대책은 원론적인 해결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김형종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대사관의 선제적 예방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 대사관과 한국 정부가 한국인 관광객의 부당한 피해를 근절하기 위한 적극적 문제 제기와 대처가 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대사관 관계자는 "최근에는 관련 민원이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알고 있다. 대부분은 여행객이 비자 번호를 제대로 작성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비자 발급 방법이나 비자 신청서 작성 요령 등을 공지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 재외동포영사국 재외국민보호과 관계자는 "외교부도 계기가 있을 때마다 캄보디아 정부에 협조 요청을 하면 노력하겠다는 답변이 온다. 그러나 워낙에 관례적으로 이뤄져 온 일이라 실질적으로 눈에 보이는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한국 정부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기엔 한계가 있다. 외교부가 강력하게 문제제기 하면 캄보디아측에서 월권행위로 볼 수 있다. 외교적으로 부담되는 측면도 있다"고 토로했다. 지난 2007년 11월 관광객들이 캄보디아 씨엠립에 있는 앙코르와트 사원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게티이미지/이매진스 캄보디아 앙코르와트에 있는 바콩 사원의 전경.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지난 2014년 11월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게재한 '캄보디아 공항에서의 웃돈요구 대처 및 선고요령'.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