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성곽마을 행촌권, '도시농업 특화마을'로 재생
도시농부 역량 강화시킨 새로운 주거재생모델 제시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7-25 18:05:18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는 한양도성을 끼고 있는 서울 종로구 성곽마을 행촌권을 주거재생에 도시농업을 접목한 '도시농업 특화마을'로 재생한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2014년 7월부터 한양도성 보전과 주거지 환경 개선,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한양도성 9개 권역 22개 성곽마을을 대상으로 주민중심의 '성곽마을 재생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중이다.
성곽마을 행촌권은 노후 저층주거지 밀집지역으로서, 도심에 있지만 유휴지가 많고 구릉지라는 특성상 채광과 공기가 좋아 도시농업에 최적화 된 곳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작년 7월 교남동 주민설명회를 시작으로 주민워크숍, 설문조사 등을 실시했고, 주민들은 도시농업 중심의 도시재생을 직접 선택했다. 마중물 사업 역시 지난 2월 발족한 주민 중심 '도시농업공동체'가 주축이 되고 있다.
마중물 사업은 △'행촌共터' 조성 △옥상경작소 등 주민 경작공간 확대 △육묘장·양봉장 등 도시농업사업 발굴 △도시농업 공동체 전문성 강화사업이다.
시는 마중물 사업을 위해 도시농업공동체에 26억원의 사업비, 지역 내 시 소유의 유휴지 등을 제공해 사업들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먼저 행촌共터는 성곽마을 행촌권 도시재생의 핵심적인 인프라에 해당한다. 도시농업 교육장, 상담, 전시, 커뮤니티 공간까지 1~3호점에 역할을 분산 배치했다. 1~3호점은 25일 동시에 문을 연다.
옥상경작소는 현재 독립문초등학교, 대신중고등학교, 주민건물 13개소에서 지난 4월부터 시범운영 중이다. 학생과 주민들이 옥상을 활용해 다양한 작물을 심은 600여개의 상자텃밭을 가꾸고 있다.
시는 올해 시범운영에 이어 내년부터 사업을 점차 확대해 약 2만㎡의 옥상 공간에 상자텃밭, 비닐하우스 등 다양한 형태의 옥상경작소를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옥상경작소가 확대되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수확물에 대한 체계적인 처리방안도 주민들과 논의하고 있다. 또 옥상텃밭 관리체계에 대한 연구개발도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시는 양봉장과 육묘장도 설치·운영 해 도시농업의 대표적인 수익형 모델을 제시한다.
양봉장 운영은 지난 3월 참여를 희망하는 주민을 모집해 교육을 실시한 뒤 벌통 40개를 설치해 시작했다. 20명의 주민이 5~6월 채밀한 아카시아꿀을 서울시 도시농업박람회, 종로구 도시농업어울마당 등에서 판매해 500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육묘장은 지난 3월 시와 자치구 소유의 유휴지 일부에 육묘장으로 쓰일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면서 조성됐다. 주민들은 육묘장에서 상추와 고추씨를 심어 모종을 길렀고, 2만포기를 키워 옥상 경작소로 옮겨 키우거나 남는 것은 판매해 350만원의 수익을 거뒀다.
주민들은 제철작물을 중심으로 종류를 다양화 해 연중 작물재배를 통한 수익창출을 이어갈 계획이다.
또 시는 농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주민들을 위한 교육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예컨대, 도심 양봉업에서 성공을 거둔 선도농가 주민을 강사로 초청, 주민들에게 양봉 기본교육을 하고, 수시로 자문이 가능하도록 주민과 강사를 매칭했다.
시는 이번에 문을 연 행촌共터 등을 활용해 보다 체계적으로 도심농업 관련 이론·실습 교육을 병행하면서 주민 공동체의 전문성을 강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성곽마을 행촌권은 도시농업에 대한 주민들의 경험과 열정을 바탕으로 도시농업 자립마을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곳"이라며 "주민들은 텃밭에서 고부가가치 사업을 발굴해 안정적 수익구조를 만들고, 시는 교육을 통해 도시농부의 역량을 강화시켜 새로운 주거재생모델을 만들어나가는 데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