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노동계 총파업, 명백한 불법…목적 정당성 결여"

"정부정책 폐기·구조조정 저지·반기업정서 확산이 목표"<br />
"파업 계획 즉각 철회하고 경제위기 극복 동참해야"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7-18 12:05:52

△ 개회사하는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장

(서울=포커스뉴스)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박병원)는 18일 "7월 노동계 총파업은 목적의 정당성을 결여한 명백한 불법파업"이라고 날을 세웠다.

경총은 이날 오전 '노동계의 7월 불법 총파업에 대한 경영계 입장'이란 자료를 내고 "노동계 총파업은 임단협이라는 표면상 이유와 달리 정부정책 폐기 및 구조조정 저지, 반(反) 기업정서 확산을 염두에 둔 것"이라면서 이같이 비판했다.

해당 자료에서 경총은 "우리 경제가 브렉시트 여파로 인한 세계경제 불확실성, 수출과 내수의 동반부진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민주노총과 금속노조는 △노동개악 폐기 △구조조정 분쇄 △재벌책임 전면화 등을 요구하며 오는 20일부터 릴레이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현대중공업노조, 대우조선해양노조, 삼성중공업노동자협의회 등 주요 조선사노조들도 연대파업 돌입을 선언하며 투쟁동력을 결집하고 있다"면서 "특히 현대자동차노조가 현대중공업노조와 함께 23년 만에 공동파업을 예정하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노사관계 불안이 확산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노동계의 총파업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우선 민주노총과 금속노조가 총파업 계획을 즉각 철회하고 경제위기 극복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총은 "민주노총과 금속노조는 파업의 목적이 될 수 없는 정치적 요구를 앞세우고 있다"며 "청년 등 미래세대와 비정규직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을 외면한 채 대기업 정규직 노조의 기득권만을 지키기 위한 이기적인 행태"라고 주장했다.

또 조선업종노조연대와 금속노조를 향해서는 자동차업계 노조를 앞세운 명분 없는 파업보다는 기업경쟁력 제고와 일자리 유지 방안에 적극 나서라고 주문했다.

특히 "자동차산업도 내수 침체와 신흥시장의 소비심리 위축으로 판매량이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자동차업계 노조도 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고 일자리를 유지‧창출할 수 있도록 진정성 있게 교섭에 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아울러 정부에는 '불법파업 가담자'에 대한 엄정한 법 집행을 당부했다.

경총은 "경제회복을 위해서는 산업현장의 노사관계 안정이 필수적"이라면서 "불법파업을 조장‧선동한 자와 불법행위 가담자에 엄정한 법 집행을 해 산업현장 법치주의를 확립시켜 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국회가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개혁 입법 등 경제활성화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줄 것을 간곡히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경총은 "경영계는 계획된 투자와 자구노력, 일자리 창출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투명경영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며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약속했다.(서울=포커스뉴스)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