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지진에 '심쿵'…야권·시민단체 "신고리 원전 추가 반대"
더민주 "신고리 5·6호기 승인취소 소송할 것"<br />
탈핵연대 "신고리 추가 건설 즉각 중단해야"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7-06 18:21:13
△ 울산 앞바다에서 규모 5.0 지진 발생
(서울=포커스뉴스) 울산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허가가 난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재검토가 필요하단 요구가 6일 제기됐다.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울산 앞바다 인근지역에 건설 예정인 신고리 5·6호기의 안전성이 우려된다며 건설 승인의 위법성을 가리는 소송을 내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은 이날 당 비대위 회의에서 "만약 진도 5.0이 아니라 더 센 지진이 왔다면 고리원전이 안전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면서 "신고리 5·6호기 건설 승인 절차가 잘못됐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승인을 취소하는 가처분 소송을 낼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전 반경 30km 안에 부산, 울산, 경남 시민과 도민들이 350만명이나 거주하고 있고 반경 50km안에는 500만명이 살고 있다"며 "신고리 원전은 짓지 말아야 할 곳에 원전을 지어놓은 우리나라 정부가 저질러놓은 최악의 범죄 행위다"라고 강도높게 지적했다.
앞서 한수원이 제출한 신고리 5·6호기 건설계획은 지난 23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승인됐다. 허가가 나기 전부터 안전성을 이유로 반대 목소리가 많았으나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경제 유발 효과 등을 이유로 허가로 결론났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시민단체의 움직임도 눈에 띈다.
탈핵부산시민연대는 이날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진 안전성이 부실한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탈핵연대는 성명을 통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승인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울산 앞바다에서 지진이 발생했다"라며 "신고리 5·6호기가 한반도에 예상되는 최대 지진규모 7.5에 못 미치는 6.9 수준의 내진 설계를 했다. 또 건립 예상 지역 활성 단층대의 지진평가도 없어 만약 지진이 발생하면 부산·울산·경남 주민들은 돌이킬 수 없는 끔찍한 재난에 직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수력원자력은 곧 신고리 5·6호기 착공을 시작해 2021년 3월 신고리 5호기, 2022년 3월 신고리 6호기를 각각 준공할 계획이다. 두 곳의 원전은 현재 건설 중인 신한울 1·2호기와 같은 한국형 원전(APR 1400)으로 발전용량은 1400㎿이고, 설계 수명은 60년이다.대전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에서 직원들이 지진상황을 모니터 하며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6.07.06 김기태 기자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의원. 2016.06.22 강진형 기자 대전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에서 모니터에 지반진동 분포가 보이고 있다. 2016.07.06 김기태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