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의, 정부에 조선 산업 회생 위한 선제적 지원 요청
조선 관련 18개 기관·단체, 13조5690억원 규모 정부 주도 선박 발주 계획 제시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6-30 17:58:54
△ 부산상의2.png(서울=포커스뉴스) 부산상공회의소를 주축으로 한 18개 조선관련 유관기관과 단체들이 조선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한 목소리를 내고 정부의 선제적 지원을 요청했다.
부산상의는 30일 오전 '조선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정책 건의서'를 발표하고, 청와대와 정책당국에 이를 건의했다.
이번 공동정책건의에는 부산상의를 비롯해 지역 상공회의소와 부산시, 지역 대학, 조선해양 관련 각종 연구소·단체 등 18개 기관이 함께 참여했다.
특히 이번 정책건의서에는 조선산업 위기 극복의 핵심 정책이 될 수 있는 정부 주도의 계획조선 발주에 대한 선종별 발주 규모와 재정수요규모, 조달방안 등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됐다.
건의서에는 산파나마 운하 개통에 따른 1만TEU급 이상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50척(5조원), 천연가스 수요 증가를 대비한 LNG선 17척(3조4000억원), 노후 관공선 32척(1373억원), 노후 여객선 63척(9817억원), 해경함정 55척(1조1800억원), 노후 원양어선 123척(1조2700억원), 노후 중소상선 45척(1조6000억원) 등 총 385척, 13조 5690억원 규모의 정부주도 계획발주 실행계획이 구체적으로 담겼다.
이들 선박들은 선종에 따라 최소 15년에서 많게는 30년 이상된 노후선들로 선종별 교체수용에 이른 선박들이다. 특히 선박건조에 필요한 조선기자재는 국산 기자재 사용을 의무화해 세계적인 국내 조선기자재 기술이 사장되거나 유출돼 산업생태계가 무너지지 않도록 해 줄 것을 함께 요구하기도 했다.
이를 위해 선박건조자금은 정부주도의 선박펀드 조성을 확대하고, 정책자금에 대해서는 무이자 지원과 함께 대출상환기간도 20년 이상으로 연장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선종별로 달리 적용되고 있는 선박담보인정비율도 선종에 관계없이 80%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고, 신규선박 취득에 따른 취․등록세도 면제해 줄 것을 건의했다.
선박금융 지원에 있어서도 중국과 일본이 0%대 금리수준의 선가 의 최대 95%까지 지원을 하고 있음을 상기시키며 금리 3%대, 선가의 최대 50% 수준에 머물고 있는 지원을 일본과 중국 수준에 맞춰 줄 것을 요구했다.
연쇄도산이 우려되는 조선기자재업계의 경영안정을 위해 대출금리 인하와 만기연장 거절, 조기 상환, 신규 차입 거절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 줄 것을 요구했다. 보증기관의 보증한도 역시 상향 조정과 보증요율 인하도 함께 요청했다.
조선기자재업의 고용 안정을 위해서도 정부의 특별고용지원업종 확대와 지원기간 연장(180일→1년)을 건의했다. 뿐만 아니라 STX조선해양의 법정관리로 108개사 약 700억원 규모의 납품대금이 동결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우선 결제와 성동조선해양와 SPP조선 등에 대한 납품대금도 지급 보증을 요구했다.
중소조선사에 대해서는 국책은행의 선수금환급보증서(RG) 발급 요건 완화 등 금융권의 RG 발급을 확대해 수주를 지원해 줄 것을 건의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