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 '제로를 향한 혁신'…"자율주행·AI가 新생태계"

인도, 2020년 인구 8억명 도달해 세계 5위 경제 강국 될 것으로 전망 <br />
사물인터넷(IoT) 시장, 전세계적으로 4백만 개 신규 일자리 창출 기대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6-29 13:48:35

△ 대한상의.png

(서울=포커스뉴스) 무배출, 무사고, 무결점 등 글로벌 트렌드로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제로를 향한 혁신(Innovating to Zero)'에 한국기업들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9일 오후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글로벌 동향분석기관인 프로스트앤설리번(Frost&Sullivan)과 공동으로 '주요산업의 미래와 글로벌 시장전망'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열었다.
이날 마노지 메논 프로스트앤설리번 아시아 대표는 '비즈니스 생태계를 뒤흔드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주제로 글로벌 메가트렌드 중 하나인 '제로를 향한 혁신'을 소개했다.

그는 "기업들은 무배출, 무사고, 무결점과 같이 완벽에 가까운 제품과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며 "자율주행 자동차와 탄소배출 제로 에너지 개발이 그 예"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버, 에어비앤비처럼 자산이 제로지만, 무형의 공유 플랫폼을 이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제로혁신의 좋은 사례"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는 속도가 최근 1,2년 사이에 매우 빨라지고 있다"며 "기업이 스스로를 재창조하는 수준의 파괴적인 혁신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적응해 나가지 못한다면, 기존에 산업을 이끌어왔던 대기업들도 어려움에 빠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기업들도 제로를 향한 혁신 트렌드에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또한 마노지 대표는 '인도경제 성장 시나리오' 발표를 통해 "2020년까지 인도의 젊은층(0~34세) 인구는 8억 명 수준에 달할 것이며, 인도 인구의 62%가 중산층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인도는 세계 5위 경제 대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산업별 주요 트렌드에 대한 전문가 강연도 이어졌다.

앤드류 밀로이 프로스트앤설리번 ICT 사업부 사장은 'IT산업의 미래 : IoT와 AI'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아시아 사물인터넷(IoT) 시장은 연평균 26.8%의 성장률이 전망된다"면서 "사물인터넷 산업의 급격한 성장으로 전세계적으로 400만 개에 달하는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회로 디자인, Auto CAD, 기계학습, 빅데이터 등의 분야는 일자리 증가율이 100%가 넘을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자율주행·AI·

'자율주행과 자동차산업의 미래' 발표를 맡은 최승환 프로스트앤설리번 이사는 "자율주행자동차는 2020년 출시를 목표로 현재 상용화 첫 단계에 있다"며 "센서기술 연구개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자율주행을 위한 인공지능 분야에 앞으로도 3억 달러 이상의 투자가 계속 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