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경찰, 해외환자 불법브로커 의심사례 확인 ‘수사 착수’

일제 현장점검 실시…불법브로커 단속으로 외국인환자 권익보호 강화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6-27 15:47:22

△ 보건복지부

(서울=포커스뉴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경찰청(청장 강신명)은 외국인환자 불법브로커 점검 결과 불법브로커로 의심되는 17명의 명단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수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외국인환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우리 의료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지난 5월25일 합동으로 일제 점검을 실시했다.

서울 소재 의료기관 29개소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점검에는 복지부와 경찰청을 비롯해 지자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117명이 참여했다.

그 결과 외국인으로서 본인이 수술을 받은 병원에 자국인 환자들을 지속적으로 소개하고 편의를 제공하거나, 외국인환자 10명을 소개하고 통역비 명목으로 대가를 받은 사례 등이 확인됐다.

복지부는 이 같은 불법브로커 의심자 17명에 대해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했으며, 점검대상 의료기관 중 진료기록부를 부실 기재한 1개소에 대해서는 의료법에 따라 경찰에 고발했다.

향후 경찰의 수사결과에서 불법브로커로 확인되는 경우 의료법 등 관련 규정에서 정한 처벌이 이뤄질 예정이다.

점검대상기간이 올해 2월25일~5월24일이기 때문에 의료법이 적용되며, 수사과정에서 6월23일 이후의 불법 행위가 추가로 밝혀지는 경우 의료 해외진출법이 적용된다.

의료법 등에 따르면 외국인환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보건복지부에 등록하여야 하며, 등록하지 않고 외국인환자를 유치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

의료 해외진출법에서는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또 의료 해외진출법에 따른 외국인환자 불법브로커 신고포상제가 시행되고 불법브로커와 거래한 의료기관에 대한 처분도 신설됨에 따라, 불법브로커와 거래 시 유치의료기관 등록이 취소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복지부와 경찰청은 앞으로도 외국인환자 불법브로커 단속을 위해 협력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라며 “이와 함께 오는 9월 진료비·수수료를 조사해 공개하고, 유치의료기관을 평가하여 우수한 기관을 지정하는 등 우리 의료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고 말했다.(세종=포커스뉴스)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