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유통업계 "동물보호법 '신고제→허가제' 개정, 업계 말살"
24일 국회 인근서 '동물보호법 개정' 규탄 집회 열려<br />
동물보호단체 "허가제 및 이력관리체계 도입해야" 법 개정 건의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6-24 16:45:59
(서울=포커스뉴스) '강아지공장' 논란 이후 반려동물 유통 등 법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자 반려동물 생산‧경매‧판매업 종사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반려동물총연합회는 24일 오후 서울 국회 인근에서 집회를 열고 "명목뿐인 동물보호단체 주도로 밀실 추진되고 있는 동물보호법 개악시도를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이날 집회에는 생산자연합회를 중심으로 펫샵 관계자, 경매장 관계자, 미용사 등 100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개고기 식육문화에 맞서 반려동물 문화를 만들고 알리고 키워왔는데 최근 편파방송으로 인해 극악한 범죄 집단으로 치부되고 있다"며 "현재 관련 업종은 말 그대로 고사(枯死) 직전까지 내몰리고 있다"고 성토했다.
동물보호법 개정 작업에 대해선 "수십 년 간의 경험이 있는 생산, 판매, 유통 종사자들은 철저히 배제돼 있다"며 "(개정을 추진하는) 동물보호단체들과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의 의도가 의심된다"고 밝혔다.
현재 동물보호법 개정은 동물보호단체와 수의사단체 등 동물유관단체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달 '강아지공장'의 비윤리적 실태를 고발한 한 방송프로그램으로 사회적 주목을 받으면서 탄력을 받고 있다.
주요 개정안은 △반려동물 영업(동물장묘업‧동물판매업‧동물수입업‧동물생산업)에 동물경매업 추가 △기존 신고제를 허가제로 전환 △반려동물 생산‧유통 과정에 이력관리체계(마이크로칩 삽입) 적용 등의 내용이 유력하다.
이에 대해 이보영 총연합회 사무총장은 "일부 잘못에 대해 인정하고 반성한다. 질타를 받아들이고 이번 기회에 모든 것을 바꿀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반려동물 영업을 기존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전환해야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강력하게 반대했다. 진입장벽이 높아지면서 기존 영업 종사자 중 낙오자가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사무총장은 "(허가제 전환은) 고령이 대부분인 종사자들에게 매우 큰 타격이 될 것"이라며 "사실상 죽으라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는 동물보호단체 등 28개 단체 주최로 '동물보호 컨퍼런스 및 동물호보법 개정 건의식'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정애 의원은 동물보호법 개정 건의를 받아들이고 향후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에서 한국반려동물총연합회 소속 종사자 1000여명이 '편파방송 및 동물보호법 개악 규탄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박나영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