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통화·재정 확장책, 대내외 충격 완화될 수 있어"

"기업 구조조정·김영란법…국내 민간소비 영향"<br />
"브렉시트·미 금리인상, 통화정책 불확실 요인"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6-22 09:01:08

△ 생각 잠긴 이주열

(서울=포커스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올 하반기 국내 경제 전망도 어둡지만 선제적 기준금리 인하 등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대내외 경제 충격이 완화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22일 오전 서울 남대문로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중앙은행과 정부의 적극적인 완화책이 충격을 다소 완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주열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달 기준금리를 낮췄고, 정부도 재정정책을 적극적으로 펴나갈 방침으로 알고 있다"며 "대내외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9일 열린 금통위에서 한은은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0.25%포인트 낮춘 연 1.25%로 결정했다.

완화적 통화·재정책이 의도치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금융시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했다. 이 총재는 "의도치 않은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지 주의깊게 보고 있다"며 "특히 부동산 시장 동향, 가계부채, 외국인 자금 유출 동향 등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해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외적 불확실성 요소로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국민투표 결과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시기를 꼽았다. 이 총재는 "브렉시트 결과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증폭될 여지가 있다"면서 "미 금리 인상 등이 국내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대내적 불확실성 요소로는 국내 민간소비 둔화 가능성을 꼽았다. 현재 진행 중인 기업 구조조정과 9월 시행될 가능성이 있는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민간소비에 영향을 준다는 것.

이주열 총재는 "5월 경남지역의 실업률이 높아졌다. 기업 구조조정의 영향이 점차 가시화될 것이라 예상된다"며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김영란법'이 9월말에 시행되면 분명히 민간소비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서울=포커스뉴스)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한국은행 창립 66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이주열 한은 총재가 생각에 잠겨 있다. 2016.06.10 양지웅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