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
(서울=포커스뉴스) 국내 30대 그룹 속한 46개 공익법인 10곳 가운데 6곳이 실적 악화로 지난해 공익사업을 전혀 하지 않거나 사업비를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롯데장학재단,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 25곳은 공익사업비를 최대 64%까지 줄였고, 송파롯데장학재단, 동대문미래창조재단(두산) 등 4곳은 공익사업비를 전혀 쓰지 않았다.
15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30대 그룹 46개 비영리 공익법인(교육목적 재단 제외)의 최근 2년간 공익사업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인건비·관리비를 제외한 순수 공익사업지출액은 2790억원으로 2014년 대비 4.1%(120억원) 감소했다.
CEO스코어는 공익사업이 이처럼 위축된 것은 공익법인의 총수입이 3조7640억원으로 전년 대비 6.2%(2490억원)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총수입이 감소한 이유는 그룹 계열사 내부출연 기부금이 3380억원으로 60억원(1.7%) 줄어든 데다 공익법인 수익의 대부분(87.2%)을 차지하는 병원·카페·미술관·상품판매·임대료 등 자체사업 매출이 3000억원(8.4%) 줄었기 때문이다.
제3자 기부금(720억원)과 배당금(730억원)은 전년보다 각각 410억원, 160억원 늘었지만, 공익법인 총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로 미미했다.
공익법인들의 사업비 지출은 이같은 수입 감소로 인한 허리띠 졸라매기로 풀이된다.
46개 공익법인 중 지난해 공익사업비를 줄인 곳은 25곳이었고 4곳은 공익활동에 단 한 푼도 지출하지 않았다. 공익사업비를 줄이거나 쓰지 않은 곳이 전체의 63%에 달했다.
지난해 공익사업비를 가장 많이 줄인 곳은 롯데장학재단으로 2014년 145억원에서 2015년 52억원으로 93억원(64.3%)이나 감소했다.
이는 2014년 롯데장학재단이 롯데복지재단에 출연했던 기부금 100억원을 지난해에는 집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 롯데장학재단은 롯데복지재단에 80억원 규모의 금융자산을 이전했는데 이는 공익사업비에 포함되지 않았다. 두 재단은 모두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의 장녀 신영자씨가 대표를 맡고 있다.
포스코가 산업과학기술 진흥 목적으로 설립한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은 공익사업비를 90억원(26.9%) 줄여 롯데장학재단의 뒤를 이었다. SK 행복나눔재단(58억원), 삼성복지재단(57억원), 아산사회복지재단(23억원)도 공익사업비를 삭감했다.
이어 현대백화점사회복지재단, 미래에셋박현주재단, KT&G복지재단, 현대차정몽구재단, 두산연강재단도 공익사업비를 줄였다.
송파롯데장학재단, 동대문미래창조재단(두산), 임당장학문화재단(현대), 대림문화재단 등 4곳은 지난해 공익사업비가 0원이었다. 다만, CEO스코어는 송파롯데장학재단과 동대문미래창조재단은 지난해 4월, 11월 각각 설립돼 공익활동이 보고서에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했다.
반면,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은 공익사업비를 97억원에서 195억원으로 100억원가량 늘렸고, LG연암문화재단, 포스코1퍼센트나눔재단도 30억원 이상 증액했다. 삼성문화재단, 한국고등교육재단(SK),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아산나눔재단(현대중공업)도 10억원 이상 공익사업비를 늘렸다.
지난해 공익사업비 지출이 가장 많았던 곳은 삼성복지재단으로 400억원의 총수입 중 270억원(67.1%)을 사용했다. 그 뒤로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이 246억원으로 뒤를 이었고,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195억원) △LG연암문화재단(176억원) △아산사회복지재단(173억원) △현대차정몽구재단(167억원) △한국고등교육재단(152억원) 등이 150억원 이상을 공익사업에 투입했다.
이외에도 △CJ나눔재단(142억원) △LG상록재단(132억원)△삼성문화재단(126억원)이 공익사업비 지출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총수입 대비 공익사업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하림재단으로 523%를 기록했다. KT&G장학재단, S-OIL 울산복지재단, 우정교육문화재단(부영)도 최대 123%로 총수입보다 공익사업 지출액이 컸다. CJ나눔재단과 CJ문화재단도 90% 이상 높은 비중을 보였다. 30대 그룹 공익법인의 지난해 총수입 대비 공익사업비 비중은 7.4%였다.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조종원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