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세제개편, R&D·시설 지원확대에 집중해야"
2016년 세법 개정 목표는 "경제활성화" 요청<br />
투자지원 세제 축소로 기업 부담 커진 것으로 나타나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6-13 11:00:32
(서울=포커스뉴스) 기업들이 바라는 2016년 세법 개정의 최우선 목표는 경제활성화로 나타났다.
13일 전경련이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법개정 관련 의견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은 올해 세법 개정의 방향을 ‘경제활성화(74.6%)’에 둬야 한다고 요청했다.
구체적인 과제로는 R&D투자·시설투자와 같은 기업투자 지원 확대(33.2%), 법인세 인하(20.5%) 등을 제시하였다. 기업들의 이러한 요청은 수년간 이어진 투자지원 세제 축소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전경련은 이번 조사 결과가 지속적으로 줄어든 투자지원 세제로 인한 기업의 어려움을 반영한 것으로 진단했다.
응답 기업 중 절반 이상이 2011년 이후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축소(30.8%), 고용창출투자세액 축소(24.7%) 등 투자지원 세제 축소가 줄어 경영에 어려움이 생겼다고 답했다. 또한, 30%가 넘는 기업(31.8%)이 지난해 R&D설비·에너지절약시설 등 투자세액공제 축소로 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5년 개정세법은 경제회복에 별다른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세법개정이 경제활력 제고에 영향이 없었다고 응답한 기업은 65.3%였으며, 20.6%는 긍정적, 14.1%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지난해 세법개정 중 기업에 가장 도움이 된 사항은 ‘신성장동력 R&D 세액공제 일몰연장(31.9%)’였으며, 가장 부담을 증가시킨 개정사항으로는 ‘업무용 승용차 과세방식 변경(37.1%)’, ‘시설투자세액공제의 공제율 축소(31.8%)’등이 꼽혔다.2016년 경제활성화를 위한 세제개선 우선 과제 기업 답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