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대관팀의 방심?…내홍 길어지며 '檢 칼날' 감지 못해

계열사 전반 전방위 압수수색<br />
롯데 창립 이래 처음 있는 일<br />
신동빈 회장 친위대 대관조직 <br />
국감때 깔끔한 일처리로 주목<br />
업계 "분쟁 장기화로 틈 생겨"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6-10 16:28:51

△ 롯데호텔 압수수색, 박스 가지고 가는 검찰

(서울=포커스뉴스) 검찰이 비리금 조성 의혹 등과 관련, 재계 5위 롯데그룹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롯데가 계열사 전반에 걸쳐 검찰의 수사대상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재계에서는 내부 경영권 분쟁이 장기화되면서 롯데 대관조직이 외부의 ‘싸늘한’ 분위기를 미처 감지하지 못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부장 조재빈)는 10일 오전 소공동 롯데그룹 본사와 주요 계열사, 일부 임직원들의 자택 등 17여 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신동빈 회장의 평창동 자택과 창업주인 신격호 총괄회장의 숙소 겸 집무실인 소공동 롯데호텔 신관 34층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검찰은 롯데가 지주회사 격인 호텔롯데를 통해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과 올해 말 완공을 앞둔 제2롯데월드 인허가 과정에서 제기된 정치권 로비 의혹을 중심으로 수사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호텔롯데 상장 계획에도 불구하고, 한국 롯데 수익의 상당한 부분이 일본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는 점도 문제시 될 것으로 보인다.

호텔롯데 상장은 신 회장이 ‘롯데는 일본 기업’이라는 인식을 불식시키겠다며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안이다. 이번 검찰 수사 결과에서 혐의가 입증될 경우 상장은 불투명해질 수도 있다.

이 같은 전방위 압수수색에 대해 롯데그룹은 사전에 미리 알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방어막 역할을 했어야 할 대관조직에 구멍이 뚫린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이날 오전 롯데그룹 관계자는 “검찰 관계자들이 들이 닥쳐 알았다. 어느 계열사까지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지는 기사가 나오는 대로 체크하며 파악하고 있다”며 상황의 급박함을 전했다.

A그룹 대관 담당 관계자는 “롯데그룹이 전날 밤 소식을 접했다는 소문은 있지만, 그게 사실이라고 해도 몰랐다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주요 기업들은 국회와 중앙부처, 사정기관 등으로 담당을 나눠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대관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롯데그룹 역시 경영권 분쟁이 본격화 되면서 청와대 출신 인사를 영입하고, 갑질 논란이 있었던 홈쇼핑이나 면세점 등 주요 계열사에는 전직 고위관료를 들이는 등 대관을 강화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신 회장의 질의응답이 예상보다 부드럽게 끝났다는 평이 나오면서 롯데그룹 대관조직의 업무능력이 재조명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신 총괄회장과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 등이 연관된 경영권 분쟁 관련 문제가 연이어 터지면서 대관조직에 틈이 생겼을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로 홈쇼핑 재승인이나 면세점 특허권 연장과 같은 각 계열사들의 문제도, 경영권 분쟁이 불거진 이후로는 그룹 이슈와 연관이 지어졌다. 대관조직이 집안일에 신경 쓰느라 바깥일을 돌볼 시간이 부족했을 것이란 얘기다.

대관업무를 담당했던 B그룹 관계자는 “대관의 1차 목표는 압수수색을 받지 않는 것인데, 이미 시작된 이상 앞으로 조사범위가 줄줄이 확대되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며 “롯데그룹이 한동안 더 어려움을 겪을 것 같다”고 말했다.(서울=포커스뉴스) 검찰이 롯데그룹 비자금조성 의혹과 관련해 롯데호텔과 신동빈 회장 자택 등을 압수수색한 10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그룹 본사로 검찰 수사관이 박스를 들고 가고 있다. 2016.06.10 허란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