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용선료 협상 타결 초읽기…남은 과제는
해운동맹 가입까지도 순조로울 듯<br />
정부 선박펀드 통해 초대형 선박 발주<br />
출자전환 이후 경영진 교체…당분간 정상화에 집중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6-07 16:46:35
△ 31일, 현대상선 사채권자 집회 개최
(서울=포커스뉴스) 현대상선의 용선료 협상 타결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현대상선에게 남은 과제는 해운동맹만이 남았다. 이후 현대상선은 출자전환까지 완료하면 정부의 선박펀드를 통한 대형선박 발주를 하겠다는 계획이다.
◇해운동맹 잔류 가능성은…
현대상선의 구조조정 과정은 순조로워 보인다. 지난달 31일부터 양일간 실시된 사채권자 집회에서 8000억원 규모의 채무 재조정을 성공한 데 이어 용선료 협상 역시 이르면 이번주 에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용선료 협상이 타결되면 현대상선은 채권단이 제시한 3가지 자율협약 조건 중 해운동맹 잔류만을 남겨놓게 된다.
해운동맹 잔류 역시 어렵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상선은 제3해운동맹 'THE얼라이언스'를 주도하고 있는 독일의 하팍로이드와 G6를 통해 오랜 기간 동맹을 맺어왔다. 일본의 MOL·NYK, 대만의 양밍을 포함한 네 회사는 현대상선의 THE얼라이언스 가입 찬성을 밝힌 상황이다.
아직 한진해운과 K라인이 입장을 표명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김정범 현대상선 비상경영실장은 "한진해운이 대승적 차원에서 찬성해 줄 거라 본다"고 밝힌바 있다. K라인은 한진해운과 CKYHE에 속해있던 선사로한진해운이 찬성하면 함께 찬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선박펀드 통해 초대형 컨테이너 경쟁력 강화
현대상선은 채권단의 출자전환이 완료되면 정부가 지원하는 선박펀드를 통해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발주할 예정이다. 채권단은 지난 24일 용선료 협상과 채무 재조정을 조건으로 출자전환을 결의한 바 있다.
정부는 지난해말 부채비율이 400% 이하의 해운사들에 대해 신규 선박 발주 목적의 펀드 12억달러(한화 약 1조4200억원)를 계획했다. 현대상선은 채무재조정, 현대증권 매각, 채권단 출자전환까지 완료되면 1500%에 달하던 부채비율이 200%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글로벌 해운업계는 2010년 이후 지속되는 불황으로 초대형 선박을 통해 수송원가를 낮추는 추세다. 반면 국내 해운사들은 1만4000TEU 이상의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한 척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 선박이 한 번 운송하는 것이 소형 선박 두 척으로 운송하는 것보다 비용적 측면에서 유리한 만큼 현대상선도 선박 대형화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현재 선박 과잉 공급 상황으로 운임료가 낮아진 상황에서 선박 발주는 불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현대상선 관계자는 "현재 해운 시황은 안좋지만 어찌됐든 반등은 반드시 올 것"이라며 "무작정 투자 안 할 수 없는 상황이고, 운항 원가 절감 측면을 감안하면 초대형 선박 도입은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출자전환 후 정상화 집중
다만, 현대상선 측은 우선 회사의 정상화에 집중하겠다는 모습이다.
지난 3일 현대상선은 임시 이사회를 열고 대주주 지분에 대한 7대1 무상 감자(주식을 보유한 사람이 어떤 보상도 받지 않은 채 주식을 잃는 것)를 결정했다. 이번 감자 후 채권단의 출자전환이 이뤄지면 현대상선의 대주주는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으로 바뀌게 된다.
현대상선이 선박 펀드를 통해 초대형 컨테이너선 발주를 하더라도 선박이 나오기까지 최소 2년의 시간이 걸린다. 이를 고려하면 선박 발주 이전의 경영전략도 필요해 보이지만, 경영진의 교체로 당장 새로운 경영 전략이 나오기는 어려워 보인다.
현대상선 측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출자전환 하면 경영권 자체가 바뀌므로 지금 전략 짠다고 해서 달라지는 건 없다"며 "현재는 회사의 정상화를 위해 최선 다하는 것 밖에 없다"고 말했다.서울 종로구 현대그룹 본사 2016.05.31 양지웅 기자 김정범 전무 비상경영실장이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현대상선 본사에서 열린 'G6' 해운동맹 회원사 협렵방안 회의가 끝난 뒤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16.06.02 허란 기자 현대상선 컨테이너선 현대 유니티호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